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외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04년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소
개
한 ‘황당하지만 인류의 미래를 바꿔 줄 발명 10가지’에 뽑히기도 했다. 공포 영화에서는 악당 과학자가 사람의 생각과 의지를 조종해 좀비를 만든다고 나오지만, 실제로는많은 과학자들이 난치병을 ... ...
한국판 ‘아이언맨 로봇’ 120kg 들고 9시간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근육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하이퍼 역시 유압식 엑추에이터로 움직인다. 연구팀이
개
발한 8
개
의 유압식 액추에이터가 달려 있다.생기원 장재호 박사는 “하이퍼는 사람과 짐, 로봇의 무게를 합해 300kg을 짊어지고 움직인다”고 말했다 ... ...
퀘이사가 만드는 중력 렌즈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큰 물체가 있다면 빛은 둘로 갈라진다. 따라서 지구의 관측자는 실제보다 확대된 두
개
의 은하를 볼 수 있다.빛이 휘는 정도에 따라 렌즈 역할을 한 물체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부 은하의 질량을 구하는 방법은 오래 전부터 쓰여 왔다. 그러나 퀘이사가있는 은하의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컷-수컷 짝이 발견된 종은 82%, 암컷-암컷 짝이 발견된 종은 38%였다. 전체적으로 볼 땐
개
체 중 5%가 동성애를 했다.맥팔랜드 교수는 이를 “새들에게 부모 노릇은 그리 큰 부담이 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즉 몇몇 종은 두 부모가 자식에게 헌신하지 않아도 종족 번식에는 크게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박사는 “인간과 비슷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수준의 기술이로봇의 각 영역별로 차례차례
개
발돼 결합하기 시작하면 상상 속의 로봇이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며 “10여 년만에 휴대전화와 무선인터넷이 우리의 생활을 바꿔 놓은 것 이상의 발전이 로봇으로 인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인문, 과학 균형잡힌 인재 선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그 후 교수 3명이 있는 면접실에 들어가서 문제를 푼 과정을 설명한다. 풀이의 의미와
개
념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응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다. 그리고 인성을 평가받는 과정을 거친다.GIST와 같은 이공계 중점대학의 입시는 과학고 학생에게 유리한 것이 아닌가? 과학고생과 일반고생의 합격 비율은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5월 나로 호에 실려 발사될 예정인 과학기술위성 2호보다 25배나 무거운 2.5톤이나 된대.
개
발 기간도 무려 7년이나 걸렸다는군.그런데 정지궤도는 또 무슨 얘기냐고? 그리고 그 높은 곳에서 어떻게 내려다보냐고? 사실 나도 그게 궁금해. 나한테도 꼭 필요한 능력이거든. 극궤도로 돌까, 정지궤도로 ... ...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10위까지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바람의 속력이 빠른 10
개
의 태풍 중 무려 6
개
가 2000년대에 발생한 태풍이었다. 따라서 자료를 통해 강한 태풍이 2000년 이후에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료 정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태풍의 발생 흐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 ...
수학자들은 왜 모였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여러 수학자의 노력 끝에 1897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제1회 국제수학자대회가 열렸어. 16
개
국에서 208명의 수학자가 참여해 성공적으로 대회를 치렀지. 이 대회에선 함수의 역사에 대해 강연한 아돌프 후르비츠와 수학과 물리학이 서로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쥘 앙리 푸앵카레의 강연이 화제가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서울의 똑똑한 버스번호 체계 때문이다. 서울시는 2004년 서울과 인근 경기 지역을 총 8
개
권역으로 나눴다. 중구를 기준으로 서울의 가운데 권역을 0번, 오른쪽 위를 1번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7번까지 위치에 따라 번호를 매겼다. 이렇게 나눈 권역번호는 버스번호에 그대로 쓰인다. 버스번호의 첫 ... ...
이전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