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 때보다 같은방향으로 돌 때 속도가 훨씬 빠르게 느껴진다. 두
개
의 속도가 서로 합쳐졌기 때문이다.놀이동산은 물리학 실험실!저 롤러코스터 좀 보세요. 이제 막 높은 곳에서 떨어지려고 해요!음. 이제 막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기 시작했군.네? 에너지요?높은 곳에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특히 가장 긴 중간 발가락 길이의 4~5배예요. 이 방법은 미국의 고고학자 알렉산더가 닭,
개
, 돼지, 타조 등이 걷고 뛰는 과정에서 나온 발자국을 연구해 만들었어요. 공룡의 속도를 측정할 때 주로 쓰인답니다. 공룡의 속도는?자, 이제 심사위원들이 공룡들의 발자국을 보면서 속도를 알아 내고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우리나라는 자물쇠를 중요시한 반면 그들은 열쇠를 중요시하는 문화였다. 열쇠를 가진
개
수에 따라 지위를 나타내기도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여는 열쇠 자물쇠 속 수학 열쇠 속 수학 번호를 사용하는 자물쇠 디지털 자물쇠 2014년 서울은 수학으로 물든다 2014년, 대한민국에서 ... ...
번호를 사용하는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생각하는 경우는 그 안전성이 약 3배나 높은 것이다.우리는 보통 현관문 비밀번호로 6~8
개
의 숫자를 사용하므로 실제로는 10만 가지보다 더 큰 경우의 수를 갖는다.이처럼 전자 번호키는 경우의 수가 증가한 면에서도 안전하지만 세 번 이상 실패하면 ‘삐’소리를 내며 몇 분간 작동을 멈춘다. 과학 ... ...
Part 2. 아름다운 한복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띠가 숨어 있다는 말을 들어 본 적 있니? 한복 바지 안에는 뫼비우스의 띠가 무려 2
개
나 숨어 있어. 뫼비우스의 띠는 긴 직사각형 모양을 한 번 비틀어 꼬아 붙인 띠야. 앞뒤가 없는 독특한 띠지.한복 바지에 필요한 옷 조각 중 사다리꼴 모양으로 생긴 큰사폭에 삼각형 모양의 작은 사폭을 연결할 때 ... ...
통계로 태어나서 통계로 죽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값 대부분이 평균보다 많이 낮은걸 알 수 있어. 선생님은 이처럼 극단적으로 높은 값 몇
개
가 평균에 영향을 많이 주면 평균의 의미가 약해진대. 이때는 중앙값이 더 의미 있다고 해.선생님은 소득도 경향이 비슷하대. 즉 소득이 없거나 매우 낮은 사람의 수가 많은 반면, 소득이 높은 사람의 수는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3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천재적으로 조립해 드디어 절벽 위로 올라왔어. 절벽 위에는 숫자와 기호가 써 있는 여러
개
의 밸브가 달린 수도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그 끝에 수도꼭지가있었어. 그런데 수도꼭지에는 이런 경고문이 적혀있었지.‘이 물은 식스로만 마실 수 있습니다.’ 식수라는 글자를 잘못 쓴 걸까? 아니면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낮아 앞으로 군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병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루빨리 로봇을
개
발해 활용해야 한다”고 군사 로봇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로봇 전쟁이 전쟁과 전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어떻게 바꿔 놓을까.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다가온다.▼관련기사를 계속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컴퓨팅 자원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장점뿐 아니라 PC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평범한
개
인에게도 슈퍼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요즘 각광받는 증강현실은 PC와 스마트폰으로는 처리할 능력이 충분치 않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내 3D 영상의 인식과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씨앗이 이토록 오랫동안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연구자들은 식물체가 26
개
월째 자라고 있을 무렵 뒤늦게 논문을 ‘사이언스’라는 유명한 과학저널에 실었습니다. 그런데 몇 달 뒤 스위스 연방연구소의 펠릭스 구걸리라는 분이 이 논문을 반박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1967년에 1만 년 된 ... ...
이전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