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통의 전모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불균등해진다. 또 부분적으로 과도해지며 안정도를 상실하게 된다. 이 때는
작은
외상으로도 손상받기 쉬우며 척추에 가해진 힘이 주위조직에 긴장을 일으켜 아픔을 초래한다.추원판이 변성된 상태에서 생기는 요통의 발생과정에 대한 정설은 아직 없다. 다만 국소혈관의 울혈현상으로 요통이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필요한 준비를 착실히 다져간 것이다.JPL의 반격미국 캘리포니아주 '파서디너'라는
작은
도시에는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자리잡고 있다. NASA소속 연구소중의 하나인 이 연구소는 달착륙선이 착륙할 곳을 선정하는 일을 했다. 뿐만 아니라 다른 혹성 즉 화성 금성 토성 등에 보낼 탐색선을 설계 제작 ... ...
동물들의 겨울잠·여름잠 추위와 더위, 건조함을 이기는 생리기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때문에 동일한 몸의 부피를 통해서 방출되는 열량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몸집이
작은
동물이 겨울철에 체온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겨울철에는 기온이 떨어질 뿐 아니라 먹이를 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에너지의 손실을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삼태성을 서북 방향으로 연결해가면 황소자리의 '알데바란'을 찾을 수 있다.이때
작은
개자리의 1등성인 '프로키온'과 큰 개자리의 1등성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를 연결한 삼각형을 겨울철의 큰 삼각형이라 한다. 여기에 쌍동이자리의 '폴룩스',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황소자리의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수백마리가 한 떼를 이뤄 광대한 지역을 이동, 유목생활을 한다.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작은
무리를 만들거나 어미나 새끼들의 주위에서 생활한다. 이러한 코끼리사회는 한 늙은 암컷에 의하여 질서를 유지해 나간다.코끼리 떼의 유목지로는 풀과 나무잎이 풍부한 곳, 물이 많은 곳이 선정된다.가끔 ... ...
국내최초로 「용오름」촬영에 성공 울릉도 앞바다의 500m 물기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뚜렷한 용오름이 발생한 적이 있다고 전해지며, 선원들에 의하면 가끔 항해시 해상에서
작은
규모의 소용돌이 물기둥을 목격한 것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용오름현상처럼 규모가 크고 해안에서 불과 1㎞이내의 거리에서 발생했으며 울릉도의 기상관계자들과 많은 주민·관광객들에 의해 ... ...
알이라면 환장하는 아프리카 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뱀들은 개구리나
작은
포유류를 즐겨 잡아먹는다. 약간의 예외가 있는데 사진에 보이는 이 아프리카산 뱀은 알을 훨씬 좋아한다. 가까이에 잡을 수 있는 동물과 알이 있다면 알을 선택한다.이 뱀은 먹음직스럽게 먹는다. 알에서 흐르는 한방울의 액체도 아깝다는 듯 천천히 완전히 삼켜버린다.이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발견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연안과 일본 남서쪽 연안에 서식하는 손바닥만한
작은
문어에서 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해수욕을 하던 사람이 이 문어에 물려 사망한 예도 있었다.그리고 소라고둥과 조가비에서도 발견되었다. 소라고둥과 조가비는 중장선(中腸腺·무척추동물 장관의 두 끝에 ... ...
태양을 스쳐 지나가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빈번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렇지만 이런 비참한 운명은 길게 늘어진 궤도를 갖고있는
작은
천체에나 해당되는 얘기이다.태양계가 그대로 있는한 거의 원형에 가까운 궤도를 갖고있는 지구같은 행성들은 아주 안전한 것이다. 이런 행성들은 태양에 달겨들지 않을 것이다.The worst disaster that can befall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그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다이래이턴시(dilatancy)라고 부른다. 이 때
작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지면이 부풀어 오르는 일도 일어난다. 동시에 지진파에서 P파의 속도가 감소하며 또 지각의 전기저항의 값도 떨어진다. 아울러 지구내부에서 지표로 방출되는 불활성 기체인 라돈의 ... ...
이전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