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졸업과 동시에 일류회사의 입사지원서를 들고 이리 뛰고 저리 뛰는 동료들을 보면서
작은
동요도 있었다. 그러나 나는 기술인의 길을 가기 위해서 조그마한 중소기업체에 취직, 후배들에게 기술을 전수했다. 그리고 산업현장의 기술을 직접 연구하면서 한편으로는 기술사의 조기 취득을 목표로, ... ...
스모그규제 20년, 한계에 봉착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됐을 망정 개선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스모그 가운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작은
알갱이와 기체의 혼합물인 광화학스모그이다. 이것은 1백가지 이상의 화학합성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중에는 독성이 있거나 암을 유발하는 성분도 섞여있다.가솔린연료의 성분인 탄화수소는 불완전연소나 누수로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대입하면δt$\simeq$-4×${10}^{-6}$ (15a)δx=δy=δz$\simeq$4×${10}^{-6}$ (15b)를 얻는다. 그러나 이러한
작은
δ값들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정밀한 관측 기술은 태양 표면 부근에서 빛이 (그림1)처럼 약 1$\frac{3}{4}$˝(1˚=3600")의 각도 만큼 휜다는 사실을 검증해내고 있다.컴퓨터로 풀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사례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요즘은 폐품을 이용한 발명이 우리 주변의
작은
생활필수품에서 대그룹 공장의 첨단기술에까지 파고 들고 있다.재료를 바꿔보자재료를 바꾸는 것도 큰 발명이다. 그리고 손수운 기법이다. 여기서 발명인은 재료도, 만들고자 하는 발명품도 모두 남의 것을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펄스로 이루어지고 있다.신경축삭에 접할 수 있도록 굵기가 몇 미크론 정도의 아주
작은
텅스텐 전극을 조심스럽게 삽입하고 그 끝을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전류관측용장치)에 접속하면 전기펄스열의 전압파형(波形)이 그대로 브라운관에 나타난다.신경축삭은 말하자면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 ...
뚱보가 날로 늘고 있다 살빼기 손자병법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계산할 때 보통 신장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나 신장이 같다고하여 체격이 크고
작은
것을 고려하지 않고 같은 표준체중을 강요한다면 당연히 불합리한 기준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키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표준체중을 자신에게 적용할 때는 체격의 크고 작음에 따라 어느정도 ... ...
지진 The Earth Trembles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없다. 지구는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다. 지각은 여섯개의 커다란 판(대륙)과 몇개의 보다
작은
육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은(매우 느리긴 하지만) 계속 서로서로에 대항하여 움직이면서 커다란 왜력(歪力)을 만들어 내고 있다. 결국 이 왜력이 마찰력보다 커지면 판(대륙)이 조금씩 미끄러지면서 ... ...
데이타베이스 강좌① 디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가지고 있다.■관련서적/한두권의 필수디베이스는 간단하게 설명을 듣고 배울 수 있는
작은
프로그램이 아니다. 따라서 디베이스를 배우려면 최소한 몇권의 관련서적은 있어야 한다. 사용법을 사전식으로 설명한 형식의 매뉴얼 한 권과 초보자를 위한 입문서 한 권 정도는 구해야 할 것이다.앞에서 ... ...
동경의 에너지 핵 융합 발전의 가능성 점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삼중수소 역시 바닷물에 있는 리튬으로 부터 쉽게 얻을 수 있다. △핵융합로 안의 연료는
작은
양씩 주입되므로 오작동시, 플라즈마가 용기벽을 때리고 냉각되는 것으로 끝나므로 매우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화석연료나 원자력발전과는 달리 사용후 폐기물이나 공해가 없다. △핵융합의 산물은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년부터는 연구비 지원이 중단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6년간의 연구기간 동안 우리가 거둔
작은
성과들 중 하나는 출혈열환자 다발생 지역인 연천 근처에서 잡은 들쥐 중에 유행성출혈열의 보균동물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나는 경기도 연천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들쥐를 잡은 동물채집원이 ... ...
이전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