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스페셜
"
한계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성공했다. 즉 37억 년 동안 모든 생명체가 숙명으로 받아들였던 두 가지 염기쌍이라는
한계
를 넘어 세 가지 염기쌍으로 살아가는 생명체가 탄생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 놀라운 대장균에 겸손하게도 ‘반합성생명체(semi-synthetic organism, 약자로 SSO)’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여전히 두 가지 ‘자연’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뇌의 극히 일부분을 그것도 이미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 해부학적 구조만 본 것이라는
한계
는 있다. 만일 아인슈타인이 지금 살아있다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같은 장비로 뇌의 활동 양상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고 그 결과는 뇌과학에 또 다른 영감을 주지 않았을까. ● 네트워크 활발하다고 ... ...
금속이 연성을 잃는
한계
는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9
결합이 끊어지지 않게 만드는지 실험한 겁니다. 온도나 압력과 같은 각종 물리력의
한계
를 실험한 결과가 바로 이번주 네이처의 표지 논문입니다. 연구팀은 “물질마다 임계점이 다르지만 그 임계점 아래 환경에서는 얼마든지 결합력을 잃지 않고 밀가루 반죽처럼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밝기가 12등급 가까이 올라갔고 나머지는 14~15등급이었다. 참고로 맨눈으로 보이는
한계
는 6등급이다. 1437년 고전 신성은 최소한 6등급의 밝기였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1437년 3월 11일의 고전 신성이 497년이 지나(즉 1934년) 왜소 신성이 됐다는 건 두 가지 신성이 동일한 시스템이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마음을 먹으면 도움행동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한 공감능력의 치명적인
한계
로 지적되는 것이 공감이란 기본적으로 타인의 힘든 감정이 자신에게로 옳아오는 시스템이란 점이다. 즉 공감을 잘 할수록 본인이 심한 괴로움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이런 공감성 과각성(empathic overarousa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유지됐다. 리뷰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장내미생물과 유전자를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
가 있다”며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
2017.07.15
대신 정작 자신을 위한 소비를 하지 못한다면 재력이 행복을 증진시켜주는 데에는
한계
가 있을 수밖에 없다. 참고로 돈은 각종 걱정과 불안 등 ‘불행’을 막아주는 역할은 톡톡이 한다. 하지만 불행을 그치는 것이 곧 행복을 촉진시키는 것은 아니다. 찬 물이 나오는 수도꼭지를 끄면 물이 더 이상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
2017.07.01
상황에 감정적으로 이입해 본인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덜 보였다. 공감능력의 한 가지
한계
는 타인의 감정이 그대로 옮겨온다는 특성 때문에 지나치게 공감능력이 뛰어나 감정이입을 심하게 하는 경우, 감정 소진이 빨리 올 수 있다는 점이다(Batson et al., 1987). 따라서 때론 공감능력이 더 뛰어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뺀다는 전략이 별 효과가 없다는 증거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운동으로는 200칼로리가
한계
날씬한 몸매 하면 떠오르는 김연아 선수와 손연재 선수를 보자. 다들 알겠지만 선수 시절 두 사람의 운동량은 엄청나 사실상 하루 종일 몸을 혹사시켰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가장 힘들었던 건 식사량 ...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꼽힌다. 타즈호르 연구원은 “줄기세포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해 포유류의
한계
이던 심장 재생 능력을 먼 미래엔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심혈관계 질환의 높은 사망률에 대처해 인류의 건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디 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아주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