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스페셜
"
한계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늘린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바야흐로 노화 연구에 새 지평이 열린 셈이다. 그러나
한계
도 있다. 유전자를 조작해 노화 세포를 선별적으로 없애는 방법은 임상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기로 하고 세놀리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세놀리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화질의 다른 측면도 더 뛰어나다고 하지만 다른 측면 역시 4K에서 사실상 인간 시각의
한계
에 이른 것 아닐까. 바야흐로 TV 디스플레이가 ‘사람의 눈을 위한 기술’에서 ‘매의 눈을 위한 기술’로 넘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꼴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비타민의 존재를 발견하던 시절 과학 지식의
한계
때문이었을 뿐이라고 에임스 교수는 주장한다. 비타민의 생체 작동 메커니즘을 정확히 모르는 상태에서 결핍됐을 때 나타나는 치명적인 급성 증상을 보고 이런 이름을 붙였지만 훗날 메커니즘이 하나둘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오른쪽은 원유에서 분별증류로 얻은 진짜 디젤유다. - 위키피디아 제공 기존 이론
한계
치 가볍게 뛰어넘은 선택성 2000년대 들어 화학자들은 두 단계로 이뤄진 전통 피셔-트롭 공정 대신 한 번에 기체분자에서 액체연료를 만드는 공정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최근 수년 사이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 없다. 보노보의 FOXP2 유전자를 인간형으로 바꿔치기 한다면 이
한계
를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사진 제공 위키피디아 침팬지와 보노보의 차이 학술지 ‘사이언스’ 8월 3일자에는 이와 관련해 지난 4월 폴란드 토룬에서 열린 언어 진화 컨퍼런스 소식을 전한 기사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어려운 문제를 만나면 더 쉽게 포기하는 경향을 보인다. 문제가 어렵다는 것은 내 지능에
한계
가 있다는 뜻이고, 노력해봤자 지능은 변하지 않는 것이므로 ‘어차피 안 될 거’ 해보지도 않고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비슷하게 출발했어도 지능은 변하는 것이라고 믿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제시되고 있다. 이 가운데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스트레스도 개인이 조절하는 데는
한계
가 있다. 그나마 음식은 여지가 있을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8kg으로 매년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1985년 128.1kg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양이다. 쌀(밥) 섭취 감소량의 상당 부분을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
2018.05.12
자신을 계속해서 평가하는한 말이다. GIB 제공 나의 ‘내용’에 집착하는 것의
한계
일례로 자신에게 비판적인 완벽주의자(self-critical perfectionist)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Dunkley et al., 2003). 1) 지속적인 자기검열 2) 자신의 행동에 대한 과도한 비판적/부정적 평가 3) 좋은 결과를 내도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
2018.04.28
“임진강의 3분의 2는 북한 영토에 있어 태풍과 홍수 피해를 정확히 검증할 수 없다는
한계
가 있다”며 “기온, 기압, 수증기 등 정확한 기상 정보와 임진강 주변 수문의 개수 등을 파악하면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임진강 수계의 댐과 홍수피해 예측 시스템 - 북한은 임진강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18.03.31
합금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강도나 연성이 높은 특성이 있지만, 탄성이 낮은 등 물리적인
한계
가 있다. 따라서 구조 재료 등의 활용보다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많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최근에는 초전도 특성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열탄소 충격(Carbothermal Shock, CTS) 방법으로 만든 나노 스케일의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