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스페셜
"
김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 [제2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장소협찬] ◈ 책임프로듀서
김
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서영표 sypyo@donga.com 이해석 shipda@donga ... ...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 [제1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이야기를 펼쳐놓는다! [장소협찬] ◈ 책임프로듀서
김
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서영표 sypyo@donga.com 이해석 shipda@donga.com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에서는 서울대 공대 기계항공공학부의 서갑양 ... 원자핵공학과 주한규 교수 제8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김
용환 교수 제9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
호경 교수 ... ...
[채널A]“갑자기 실명이라니…” 녹내장 환자 매년 10% 급증
채널A
l
2013.12.09
진행되면 시신경이 모두 손상돼 실명에 이르기도 합니다. [인터뷰 : 황영훈/건양의대
김
안과병원 교수] 한 번 손상된 시신경을 돌리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가급적 초기에 진단을 해서 녹내장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하는 것입니다. 지난해 국내 녹내장 환자 수는 58만여 명. 매년 10%씩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세종시대 자격루 제작에 의해 획기적으로 발전한다. 1432년 6월 24일 세종은 장영실과
김
빈에게 시각을 자동으로 파악해 알리는 나무 인형을 만들어 물시계를 지키는 관리의 노고를 덜어 줄 것을 명하였다. 2년 여 기간을 거쳐 1434년 7월 드디어 자격루가 완성되어 공식적인 표준시계로 사용되었다.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www.sema.or.kr/webzine/130901/image/sub_people_img_02.jpg" border="0" alt="연구실에서의
김
빛내리 교수.
김
교수는 한국에서 RNA 연구가 거의 없던 시절,마이크로 RNA 연구의 가능성을 예견하고 과감하게 도전했다. 현재 마이크로 RNA는 유전정보 발현 조절의 핵심 분야로로 주목받고 있다" style="padding: 0px; margin: 0px; ... ...
[채널A] 눈앞에 날파리가 어른어른…‘비문증’ 방치하면 위험
채널A
l
2013.10.04
이들 5명 중 1명은 심각한 망막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 이동원/건양의대
김
안과병원 망막센터 교수] 비문증이 발생하면서 망막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방치하게 되면 망막박리라는 큰 병으로 발전하면서 나중에 시력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컬럼비아대
김
필립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의 논문이다. 흥미롭게도 지난 2005년
김
교수팀이 ‘네이처’에 그래핀의 양자역학적 현상을 규명한 논문이 실렸을 때도 가임 교수팀의 비슷한 결과를 얻은 논문이 나란히 실렸다. 한편 학술지 ‘사이언스’ 6월 21일자도 또 다른 연구그룹의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통해 신시장 창출 아이디어나 기술 보완 등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김
종대 본부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경쟁력 있는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② 나노기술 영향평가 연구에도 관심 가져야 ③ 연구, 기관, 사업성과 등 정보 DB 구축 시급 ※ 편집자 주 ... ...
안정성과 유전정보의 다양성 돕는 재조합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선택 기전에 미치는 영향 등 전반적인 유전자 재조합 관련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수십 년간 궁금증으로 남아있던 체세포와 생식세포분열 특이적 유전자 재조합 기전의 명확한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암초기 발생 원인에 대한 과정이나 다운증후군 등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