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원하는 위치에 암세포가 정확히 전달된다는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
줄기
세포를 이용하는) 재생의학이나 세포 기반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로봇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27일자에 발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정교함이 떨어지고(각성과 이완의 최댓값 차이, 즉 진폭이 줄어든다) 아데노신수용체도
줄기
때문에 카페인의 영향력이 더 커진다. 즉 밤에도 생체시계 각성도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카페인이 얼마 안 되는 수용체를 막아 수면압력도 낮아지면 잠들기가 정말 어렵다. 특히 남성은 40대에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반더해그헨(Pierre Vanderhaeghen) 교수도 “인간에 있는 노치-2 유전자가 태아 발달 과정에서
줄기
세포 수를 급격히 늘렸다”며 “뇌 크기와 관련한 핵심 유전자”라고 강조했다. 향후 이 유전자군이 생겼을 때 고대 인류가 겪은 사회와 자연 환경 등을 연계해 추적하면 뇌 크기가 커진 이유를 밝힐 수 ... ...
식물 에너지 통로 조절 단백질 발견…열매 생산성 40% 증대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체내의 에너지 수송(분배) 능력과 생산성 사이의 연관성을 최초로 증명한 것”이라며 “
줄기
단백질과 목표 유전자들의 체관 발달 조절은 지구 식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다발 식물의 진화에 결정적인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 ...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자 돌연변이 탓
과학동아
l
2018.06.04
앨라배마대 생물학과 교수는 이전 쥐 실험에서 ‘MITF’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줄기
세포와 멜라닌세포가 사라져 털이 하얘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이 유전자 변이가 털 색깔뿐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에 반응하는 면역계의 과도한 활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 ...
각막 3D 프린팅 세계 최초 성공, 시각장애인에 ‘빛’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제1저자인 스티브 스위오클로 뉴캐슬대 박사후연구원은 “각막세포로 분화되는 각막
줄기
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각막으로 많은 사람들의 시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며 “3D 프린팅은 환자의 안구에 꼭 맞는 사이즈와 형태로 각막을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 ...
[짬짜면 과학 교실] 스스로 돕는 식물의 생존법
2018.06.02
물을 식물 곳곳에 날라 주어요. 또 잎에서 만든 양분을 식물 곳곳에 배달해 주어요.
줄기
의 도로는 두 개의 긴 터널로 되어 있어요. 그중 하나는 ‘물관’이고 다른 하나는 ‘체관’이에요. 물관은 뿌리가 흡수한 물을 끌어 올려 곳곳에 나르는 전용 도로예요. 체관은 잎에서 만든 양분을 곳곳에 ... ...
日 후생노동성, 심장 질환에 유도만능
줄기
세포 치료 세계 최초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하지만, 지금보다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며 “(
줄기
세포 치료에 대한) 적합한 시험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사와 교수는 “후생노동성은 우리의 치료법이 과학적이고 윤리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승인한 ... ...
의학실험때 세포 성별 무시하면 ‘큰 코’… 남녀간 약 효과-부작용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배아
줄기
세포를 성염색체에 반응하는 형광 물질로 염색했다. Y염색체에만 반응하는 형광 물질(녹색)이 빛나는 쪽이 Y염색체다. -사진 제공 BMC 발달생물학 의학이나 생명과학 실험실에서는 인체에서 나온 세포를 이용해 많은 실험을 한다. 그런데 이 세포가 여성에게서 나왔는지 또는 남성에게서 ... ...
현대인 두뇌의 절반 크기 ‘초기인류 뇌’ 미스터리 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11일(현지 시간) 밝혔다. 현대인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
줄기
(iPS) 세포에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넣은 뒤,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배양해 콩알만 한 크기의 뇌 인공세포체(오가노이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폐보 교수는 “현대인의 뇌 오가노이드와 네안데르탈인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