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 아름다운 색과 뚜렷한 개성을 지닌 호주의 딱정벌레들
2018.11.16
호주국립식물원, 부드레 식물원을 일주일 간 견학하는 동안 잎 뒤에, 꽃 속에, 나무
줄기
결에 꼭꼭 숨어 있던 곤충들을 찾아내는 즐거움이 있었다. 이 자료들을 놓치기 아까워 급한 대로 스마트폰에 담았다. 돈나무잎벌레 Pittosporum Beetle (Lamprolina aeneipennis) 구리날개거저리 Chalcopterus Beetle ... ...
줄기
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아예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다음에 다시 몸속 주입하는 방법을 써 이런 위험을 덜었다.
줄기
세포 전문기업 ‘스템랩’의 오동훈 대표는 “iPS는 자기 몸에서 얻은 세포를 분화시켜 쓰는 ‘자가이식’이 기본인데 이번엔 타인의 세포를 이용했다”면서 “암발생 우려를 덜 수 있고 체세포의 ... ...
사람 腸 모사한 미니칩으로 장염 원인 밝혀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발병 원인과 과정을 밝힌 세계 첫 사례다. 신 연구원은 “앞으로 환자 개인의 세포와
줄기
세포를 이용한 장기칩을 만들어 개인의 유전적,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환자 맞춤형 칩’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내 미생물 연구를 위해 장기칩에 환자의 분변에서 분리한 장내미생물을 키우는 ... ...
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11.06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해
줄기
세포를 2주간 배 양했다. 그 결과
줄기
세포는 20~60개의 작은 세포 덩어리로 자랐다. 연구팀은 이를 다시 9개 월 동안 키워 망막으로 만들었다. 이 망막 오가노이드는 빛에 반응하며,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으로 지름은 약 2mm다. 연구팀은 이 망막 ... ...
RNA연구 핵심장비 '극저온현미경' 중국 대학 한곳에 6대…한국은 내년에 두 번째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유전자 침묵’ 등의 과정에 관여해 초기 발달 단계를 조절한다”며 “이 과정은 요즘
줄기
세포 등 재생의학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세포 역분화(리프로그래밍)와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안토니오 기랄데즈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 -사진 제공 IBS 최근 RNA를 주제로 한 대형 생명과학 국제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빛의 세기를 아주 강하게 해 두
줄기
의 빛을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조절했다. 빛은 서로 영향을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지만, 빛이 가진 에너지가 커지면 그 에너지는 다른 빛에 영향을 미친다. 이 방법은 강력한 빛을 만들기 ... ...
[여기에 과학] 30대 여성 난소에서 물혹이 많이 생기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국제학술지 ‘병리학저널’에 밝혔습니다. 생식 세포로 완전하게 분화가 끝나지 않은
줄기
세포가 난소나 췌장으로 이동해 자리하고 있다가 약 30년~40년 뒤 종양으로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제네바대 병원과 하버드대 브링엄여성병원이 보유한 물혹 환자 총 287명의 유전자 자료를 ...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의장을 맡은 정성진 한국뇌연구원 뇌연구정책센터장은 “대표적인 예로 인간의 배아
줄기
세포를 연구할 때 14일이 경과하면 실험에 쓰지 못하도록 하는 건 그때부터 뇌신경 분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라며 “과학적인 연구결과가 많아질수록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타당한 윤리기준을 만들기도 ... ...
[표지로 읽는 과학]초파리 뇌 발달 과정을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초록색 항체와 반응하는 인자를 만드는 세포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사이언스는 “
줄기
세포에서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은 복잡하다”며 “주변의 세포와 상호작용 을 통해 생성하는 전사인자가 매 순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배치과정은 말 그대로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것”이라고 ... ...
“미세먼지 건강영향, 노인성 근감소증...‘생명현상’ 연구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장기프로그램으로는 일명 ‘장기칩’을 연구하고 있다.
줄기
세포를 간세포 등으로 분화시켜 조직을 만드는 기술이다. 인체 장기를 모사한 인공장기시스템으로, 이렇게 만든 이공장기를 모아 하나의 약이 여러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