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물질로 항암제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다양한 모양을 구현할 수 있어 나노 구조체의 재료로 쓰이고 있다. 연구팀은 DNA 종류와
서열
의 순서를 조합해 모양과 화학적 성분이 다른 1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DNA 나노 구조체 16종을 만들었다. 이 DNA 나노 구조체들을 쥐에게 투입해 기존에 보고된 암 표적 물질보다 약 3배 이상의 ... ...
40대 전후 조기발병위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한국인 조기발병위암 환자 80여 명의 유전체를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법(NGS)’으로 분석한 결과다. 위암은 세계적으로 폐암, 간암에 이어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암이다. 보통 30세 이전에는 거의 발병하지 않다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발병률이 상승해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인간은 영장류 네다섯 종을 사이에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
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공통조상에서 분화된 호랑이 | 스티븐 오브라이언 전(前) 미국 국립암연구소 게놈다양성연구소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설표범과 호랑이 아종 6종의 ... ...
불임 유발 ‘자궁내막증’ 원인 알고보니 ‘후성유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상황이다. 연구팀은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에 주목했다. 후성유전학이란 DNA 염기
서열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 기능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학문이다. 대표적인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전으로는 히스톤 단백질 말단에서 일어나는 아세틸화, 메틸화, 인산화 등이 있다. 연구팀은 ‘히스톤 ... ...
태아 성별 결정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과학동아
l
2019.01.04
유전자 바깥의 증강인자(enhancer·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염기
서열
)의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고환이 정상적으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Y염색체에 존재하는 ‘SRY(Sex-determining Region Y)’유전자가 필요한데, 이 유전자는 ‘SOX9’라고 불리는 조절 유전자에 의해 작동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관여하는 약 9만 2000여개의 RNA 전사체의 염기
서열
을 분석했다. 단일세포 RNA 염기
서열
해독 기술로, 제브라 피쉬의 배아가 25가지 종류의 특정 장기세포로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해독기술에 정교한 유전자 교정 도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9만2000개가 넘었는데 이 세포의 전사체를 하나하나 정확히 분석하는 ‘단일세포 RNA 염기
서열
해독 기술’과 정교한 유전자 교정 도구인 ‘크리스퍼’를 동시에 이용해 시간대별 세포 발생 상황을 지도처럼 그려냈다. 배아 단계에서 발생하는 희귀병 등을 연구할 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
동물 사회도 지위 낮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하는 요인이 아니라 힘으로 생긴 결과”라며 “활발한 면역 유전자를 가진 수컷이
서열
싸움에서 우위를 정한다”고 말했다. 텅 교수는 “사회적 지위와 건강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며 동물의 경우에도 사회적 지위에 따라 건강 상태가 달랐다”고 밝혔다 ... ...
유전자가위와 나노 접목한 새 유전자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디(d)캐스9’을 만들었다. 원래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30억 쌍에 이르는 긴 염기
서열
로 이뤄진 전체 DNA에서 목표로 하는 DNA를 대단히 높은 정확도로 찾아 자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여기에서 자르는 기능만 없앤 크리스퍼 디캐스9은 목표 유전자에 붙어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연구팀은 이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항체의 구조를 분석한 뒤 인식하는 부분의 아미노산
서열
을 읽으면 여기에 해당하는 DNA
서열
을 알 수 있다. 이 DNA 조각을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게놈에 넣으면 이들이 항원을 인식하는 부분인 작은 단백질인 나노항체를 만든다. 나노항체 네 개 조합해 효과 극대화 연구자들은 라마에 독감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