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2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게시판] ‘2021 세종과학기술인대회’ 2020년도 과학기술유공자 9인 업적 기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9인은 한국의 기상학과 기상예보의 기반을 마련한 고 국채표 중앙관상대 전 대장, 수소화
금속
이용 유기합성 분야를 선도한 화학자 고 윤능민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대수기하학분야의 변형이론을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수학자 고 임덕상 미 펜실배니아대학교 전 교수(이상 자연분야), 한국의 전염병 ... ...
카롤린스카 의대 교수 "한국 연구환경 뛰어나...생리의학 분야서 노벨상 수상자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유명한 ‘시타글립틴’을 비롯해 향수 원료 물질 등 광범위하게 쓰이는 화학물질을
금속
없이도 만들어내는 ‘비대칭 유기 촉매’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조르조 ... ...
천하장사 할머니 포착
팝뉴스
l
2021.11.01
나갈 것 같은 물건을 들고 가는 할머니가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을 사로 잡았다.
금속
재질의 물건은 어디에 쓰이는 것일까. 할머니는 왜 저런 것을 어깨에 얹고 다니는 것일까. 해외 네티즌들은 많은 궁금증을 드러내고 있는데, 할머니가 운반하는 물건이 큰 트럭에서 뜯어낸 부품인 것 같다고 ... ...
저농도 이산화탄소로 산업 원료 '일산화탄소' 고효율 전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31
니켈 단원자 촉매를 개발했다. 그동안 철이나 니켈 등 일반
금속
은 은이나 백금 등 귀
금속
보다 반응성이 좋지 않아 이산화탄소 전환 촉매로 만들기 어려웠지만 연구진은 단일 원자 형태로 만들면 효율이 좋아진다는 데 착안해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 개발된 니켈 단원자 촉매로 저농도(10%) ... ...
[이덕환의 과학세상]‘탄소’가 망친 세상 ‘수소’가 구해줄까
2021.10.27
자동차의 연료 탱크는 700기압의 초고압을 사용한다. 그런 초고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
탱크는 실용화가 어려울 정도로 무겁다. 다행히 가벼운 탄소섬유로 충분히 튼튼한 연료탱크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초고압의 연료탱크의 안전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수소 기체의 ... ...
美 개발한 새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기술 '성능 그대로, 수명 늘고 쓰레기 줄고'
동아사이언스
l
2021.10.25
쓰인 니켈과 망간, 코발트가 분리된다. 연구팀은 양극 소재에서 추출된 3종의 중
금속
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다음 다공성 미세구조를 형성했다. 리튬 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재활용해 만든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와 유사한 수준의 에너지 밀도를 보이면서 더 긴 수명을 ... ...
[표지로 읽는 과학]6배 강하고 잘 휘는 2차원 목재 소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4
복합재다. 쉽게 썩고 폐기물 문제도 덜해 환경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문제는
금속
이나 플라스틱처럼 실생활에 쓰일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목재를 가공해 벌집과 같은 3차원의 복잡한 모양으로 만들려면 여러 개의 목재를 계속해 덧붙이는 어려운 작업이 ... ...
갑자기 닥친 추위에 평년보다 17일 이른 서울 첫 얼음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아침 기온이 0도 안팎으로 크게 떨어지면서 첫 얼음이 관측됐다. 얼음은 기상관측장비 내
금속
용기에 담긴 물이 얼었을 때를 관측됐다고 본다. 서울에서의 첫 얼음 관측은 지난해에 비해 1주일, 평년보다는 17일 빨랐다. 기상청에 따르면 강원도 북춘천과 경북 안동에서도 지난해보다 약 1주일 ... ...
달팽이 알 잡고 부화시켜 심박수 잰다… 생명체와 교감하는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측정할 수 있다. 그리퍼는 물체를 잡기 위해 만든 로봇이다. 기존 그리퍼는 주로
금속
처럼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져 부드러운 물체를 잡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물체가 보내는 신호를 받는 센서를 붙이면 로봇의 부피가 커져 작은 물체를 잡기가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부드러운 소재를 쓴 ... ...
[랩큐멘터리] 반도체 대신
금속
으로 만든 트랜지스터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말이 된다”며 “전자 소자의 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실은 바일
금속
과 같은 차세대 물질 연구 외에 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인 큐비트 후보로 꼽히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자기힘현미경으로 관측하고 조작하는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입자이자 동시에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