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98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바깥 우주에서 벌어지는 총성없는 전쟁
2018.10.13
수 있도록 우주를 감시하는 임무도 맡고 있다. 우주 감시는 지상이나 우주공간에서
광학
, 적외선, 전파 레이더를 활용해 궤도에서 활동 중인 인공위성뿐만 아니라 임무를 다한 인공위성이나 우주물체 등도 감시한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현재 영국과 캐나다 우주군의 핵심 임무는 우주 감시다. ... ...
'성상품화' 논란 휩싸인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와 레이저를 이용해 작은 입자를 포획하는
광학
집게 기술을 개발한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전 연구원이 선정됐다.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지난 1985년 지도교수이던 무루 교수와 함께 레이저 증폭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가진 고유 진동수와 공명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만 작동하는 한계가 있었다. 송 교수는 “
광학
집게 덕분에 광자를 잡고 내부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으로 광자의 진동수를 조절 가능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밝혔다. 화학상을 받은 유도 진화 기술은 원하는 기능을 가진 촉매와 분자를 마음껏 ... ...
올해 노벨상 받은
광학
집게로 신개념 광다이오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이를 이용해 주파수에 제한없이 작동하는 광다이오드 소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광학
집게는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아서 애슈킨 전 미국 벨연구소 박사가 개발한 도구로 레이저 빛으로 원자나 살아 있는 세포 같은 매우 작은 물체를 붙잡을 수 있는 기술이다. 손 교수는 “에너지에 따라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예를 들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그리고 살아 있는 세포까지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학
집게를 실험실에서 이용하게 되면서 대단한 발견들이 이어져 왔다. 앞으로도 분자 운동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도 세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키네신’이라는 진핵생물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기리고,
광학
과 광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광학
분야는 노벨상을 많이 배출하기로도 유명하다. 몇 가지 예를 들면, 2009년 물리학상은 광섬유를 연구해 광통신의 길을 연 찰스 가오 전 홍콩 중문대 총장(지난달 타계)과 디지털 카메라 소자인 컬러 ... ...
‘레이저 정밀기기 산파’ 노벨 물리학상, 3명 공동수상… 55년만에 여성도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않고 붙잡는 데 처음 성공한 이래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이끌었다.
광학
집게는 나노 기계는 물론이고 화학, 생물학, 의학 분야에서의 작은 입자 연구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원자 간 결합 에너지를 측정하거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스승과 제자 관계인 ... ...
"더 많은 여성이 노벨상 받을 것"…55년 유리천장 깨다
2018.10.02
선정위원회는 이날 도나 교수와 함께 애슈킨 전 연구원과 제라르 무루 프랑스 초고속
광학
과학센터 겸 미시간대 교수 등 3명을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 ... ...
노벨상 최고령기록 100세 육박…90살에서 96살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못한 것과 관련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병호 서울대 교수는 “스티븐 추 교수가
광학
집게를 이용해 원자를 붙잡아 얼리는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을 때 애슈킨 교수가 왜 못 받았는지 말이 많았다”며 “이 분을 위해 따로 행사 모임도 가지고 학회도 했을 정도”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 ...
노벨물리학상
광학
집게·라식용 레이저 만든 美佛加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8.10.02
일으킨 연구를 했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 이병호 서울대 교수는 “스티븐 추 교수가
광학
집게를 이용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을 때 애슈킨 교수가 왜 못 받았는지 말이 많았다”며 “이 분을 위해 따로 행사 모임도 가지고 학회도 했을 정도”라고 말했다. 무루 교수와 그의 밑에서 박사 과정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