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기술을 학생들이 협업해 개발하는 산학협력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고려대 인공지능학과는 나머지 두 AI대학원과 달리 석사과정이 없다. 연간 50여 명의 정원 전원을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선발한다. 첫 학기인 이번 학기에는 총 28명을 선발했다 ... ...
- [중국유학일기] 중국도 ‘배달의 민족’이었어 ‘와이마이’ 문화 발달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내가 중국에서 한 달 동안 쓰는 생활비는 우리 돈으로 약 40만 원이다. 중국 돈으로는 2300위안 정도다. 현지에서 돈을 쓸 때는 중국은행의 ‘판다 유학생카드’를 사용한다. 중국 유학생을 위한 카드인데, 한국에 있는 중국은행 지점에서 만들 수 있어 편리하다. 한국에서 원화로 입금하면 현지에서 ... ...
- [수학뉴스] 2020 브레이크스루상 수학상, 알렉스 에스킨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에스킨 미국 시카고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선정됐습니다. ㅁ 브레이크스루상은 기초물리학과 생명과학, 그리고 수학까지 세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하는데, 미국의 영화상인 오스카상만큼 화려한 시상식을 열어 ‘과학계 오스카상’이라 불리지요. 구글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페이스북 ... ...
- 꼭꼭 숨어라 블랙홀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선임연구원), 김준한(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천문학과 연구원), 임명신(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조일제(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연구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꼭꼭 숨어라 블랙홀이 보인다!Part 1.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Part 2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병을 쓰러뜨려도 실패다. ‘핵인싸’의 필수템이 된 병뚜껑 챌린지. 홍석철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의 도움을 받아 병뚜껑 챌린지의 성공을 좌우하는 물리학적 포인트 세 가지를 정리해봤다.Point 1 돌림힘의 크기를 따져라 병뚜껑 챌린지 성공을 위한 첫 번째 팁은 돌림힘(토크·torque)이다. 돌림힘은 ... ...
- [이투스 입시정보]수의예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약 429만원 평균장학금 약 206만원 졸업소요기간 5년 6개월 취업률 88%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수의예과]http://www.etoos.com/report/major/[학과 자세히보기]- 서울대 수의예과 : http://vet.snu.ac.kr/- 건국대 수의예과 : https://www.konkuk.ac.kr/jsp/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인터뷰 “남극에서 블랙홀을 관측했어요!”_김준한(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천문학과 연구원) Q EHT 프로젝트에서 어떤 일을 하셨나요? 2013년부터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남극점 망원경’의 관측 장비를 개발하고 블랙홀을 관측했어요. 원래 남극점 망원경은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위해 ...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색깔은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데, 정확도가 75% 수준이다.머리카락은 심지어 블랙홀 물리학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지난해 작고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에게는 최근 ‘패배’를 안겨줬다.1960년대 미국의 물리학자인 존 휠러는 검정구멍(블랙홀)은 물질을 내보내지 않고 빨아들이기만 ...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개발을 총괄한 임영익 인텔리콘연구소 대표는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서울대 미생물학과(현 생명과학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뇌과학을 공부하다 AI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다.AI 중에서도 임 대표의 선택은 법률 AI였다. 임 대표는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 대법원 법률자료 ...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삼위일체 이론’도 제기됐다.동물의 인지행동과정을 연구하는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지능에 대한 여러 이론이 있지만, 이들을 관통하는 공통적인 한 가지 정의가 있다”며 “지능은 특정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원하는 모든 지식과 기술의 집합이라는 점”이라고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