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과학자가 말한다!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하지요. 현대 천체 물리학 연구에서 시민과학자들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지구로부터 20pc(파섹)● 이내에 있는 갈색왜성의 10%는 시민과학자들이 찾은 것이에요. 정말 엄청난 도움이 되지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어떤 발견을 하셨나요?2016년 원반 탐정의 시민과학자들은 ‘피터팬 ... ...
- 두 번째 방_수상한 잡동사니방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비밀 메시지 아닐까요? 먼저 첫째 줄의 글자들을 가만히 보니, 앞뒤 순서를 바꾸면 ‘지구’라는 단어가 돼요. 나머지 두 줄의 글자들도 순서를 바꾸면 뜻을 가진 말이 되지요. 세 줄의 글자를 올바르게 배열한 다음, 숫자가 적힌 칸의 글자만 1, 3, 2의 순서대로 읽어 봐요. 여러분은 방금 ... ...
- [이달의 아이템] 봄 나들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겨울잠을 마친 지구는 3월 기지개를 켠다. 시원한 바람을 타고 푸릇한 내음이 실려 오고, 저마다 아름다움을 뽐내는 형형색색 꽃잎이 만발한다. 햇살 좋은 날, 봄 나들이를 떠나는 건 어떨까. 꽃나무 아래 돗자리 한 장, 그리고 나들이를 더욱 아름답게 할 필수 아이템과 함께 말이다.1. 파워포트 21W ... ...
- [과학뉴스] 전 세계 빙하, 예측보다 20% 적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상에 존재하는 빙하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적을 가능성이 제기됐다.프랑스 환경지질학연구소(IGE)와 미국 다트머스대 국제공동연구팀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빙하의 움직임과 두께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전체가 녹았을 때 상승하는 해수면의 높이가 종전에 예측한 값보다 20%가량 낮다고 예측해 ... ...
- [기획] 다지류 선조는 육지를 휩쓰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다지류 다리 숫자에 입이 떡 벌어졌겠지만 놀라긴 아직 일러. 우리 선조들이 육상에 제일 먼저 진출한 동물이란 거 알아? 또 선조 중에는 ... 크게 자랄 수 있었죠.이와 함께 아르트로플레우라의 경쟁자가 될 다른 육상동물도 없어, 지구 역사상 가장 큰 절지동물로 몸집을 불릴 수 있었답니다 ... ...
- [가상 인터뷰] ‘북극에 웬 댐이…?’ 지구온난화가 넓힌 비버의 여행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녹을 위기에 처했어요. 북극에 진출한 비버 또한 지구온난화를 가속하고 있는 셈이죠. 지구온난화가 앞으로도 지속되면 아직 비버가 도달하지 못했던 알래스카 최북단까지도 진출할 수 있어요. 북극에 비버가 얼마나 있는 거야?연구팀은 현재 북극에 거주 중인 비버 개체 수가 5만에서 최대 10만 ...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탐사 생물종 중 내게 맞는 탐사는? 추천 탐사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올해 총 17개의 생물종을 탐사할 예정이에요. 이중 어떤 생물종부터 탐사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요? 주위를 둘러보세요. 어떤 생물이 여러분 곁에 있나요? 그래도 모르겠다면 추천 탐사 테스트를 통해 나와 맞는 생물종을 찾아보세요!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성장했을까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지구사랑탐사대(이하 지사탐) 탐사대장 장이권입니다. 벌써 10년째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동물의 생태를 연구했죠. 처음 지사탐은 제게 연구를 진행하는 한 가지 방법이었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민들과 ... ...
- [헷갈린 과학] 눕거나 엎드리거나 루지 VS 스켈레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등을 바짝 대고 누운 자세로 길이 1km가 넘는 트랙을 빠르게 내려가는데, 곡선 구간에서 지구 중력의 7배나 되는 힘(7G)을 느낀다고 해요.루지 썰매는 본체와 위쪽 끝이 크게 휘어져 있는 날인 ‘러너’로 이뤄져 있어요. 러너의 윗부분인 ‘쿠펜’에 다리를 걸고 조이거나 풀면서 썰매의 방향을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큰개자리와 작은개자리, 두 마리의 개를 쉽게 볼 수 있어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는 지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로, 밝은 1등성이 많은 겨울철 밤하늘에서도 눈에 띄는 푸른 빛을 낸답니다. 작은개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은 고대 그리스어로 ‘개보다 앞선다’는 뜻이에요.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