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짜디 짠 라면이 좋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훨씬 나트륨이 많아요. 소금이나 식품첨가물의 주요성분인 나트륨은 몸속에 물을
저장
하게 만들어 혈압이 높아지게 해요. 그래서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고혈압이 생길 수 있지요. 특히 저희를 일주일에 2번 이상 먹으면 고혈압에 걸릴 가능성이 68%나 높아진대요.헉, 말도 안 돼! 그럼 라면을 싱겁게 ... ...
뇌과학이 알려 주는 공부비법 5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보였어.미국 듀크대학교 연구팀의 연구에서도 잠을 자는 동안 뇌가 기억을 증폭시키고
저장
하는 것으로 확인됐지. 최근 많은 연구에서 같은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어. 즉 우리 뇌는 잠을 잘 때 새롭게 얻은 정보를 정리하고 통합해서 장기기억으로 처리한다는 것이지.만약 잠을 충분히 못자면 어떻게 ... ...
책을 읽어 주는 똑똑한 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읽어 준답니다. 카메라로 글자를 촬영한 뒤 어떤 단어인지 인식한 다음, 컴퓨터에
저장
되어 있는 음성으로 소리를 내보내는 원리이지요. 또 문장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서는 진동이 울리기 때문에 다음 문장을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핑거 리더가 단어와 단어를 이어서 말할 때 발음이 ... ...
알록달록 아름다운 머릿속 실타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거대한 망으로 이뤄진 신경세포들이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생각을 하거나 기억을
저장
한답니다. 연구팀은 뇌세포에 색깔을 입혀 관찰하면 일반인의 뇌와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뇌가 어떻게 다른지도 비교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최첨단 디지털 펜으로 공부를 하는 건 어때? 네가 공부한 내용을 그대로 컴퓨터에
저장
해 두었다가 복습할 수도 있다고! 게다가 영어 문장을 읽어 주거나 관련된 내용을 자동으로 알려 주는 교육용 전자펜과 함께라면 공부가 더 재미있을걸?쓰면 인식하는 전자펜 세상예전에는 화면이나 패드가 그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움직이며
저장
소 내에 전자를 채우고 빼며 0과 1을 기록합니다. 성능이 개선될수록
저장
소의 공간이 점점 작아지고 있는데, 이제 한계에 다다랐습니다. 그래서 다른 컴퓨터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바이오컴퓨터는 사람 머릿속 뉴런을 모방해 병렬적인 계산을 합니다. 양자 컴퓨터는 ... ...
[과학뉴스] 컴퓨터 열로 난방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최대 2000L의 물을
저장
할 수 있는 물탱크가 있다는 점이다. 이 물은 서버에서 나오는 열을
저장
하며, 온수 자체로 혹은 건물을 데우는 데 사용할 수 있다.클라우드앤드히트테크놀로지사는 초기 설치비용으로 1만2000유로(한화 약 1670만 원)를 내면 15년간 열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정보가 담긴 신경신호를 만드는지 연구하고 있다. 어떻게 장소 기억이 해마의 시냅스에
저장
되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또 알츠하이머에 걸린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전기신호가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연구해 알츠하이머의 원인도 찾고 있다. 세포의 모양과 반응을 수리적으로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만들지만,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다(일반적으로 RNA는 단백질을 만든다). 또 마이크로RNA의
저장
소 역할을 하는데, 마이크로RNA는 단백질 생산을 조절한다.올해 1월에는 SRY 유전자가 ‘Y 몰락설’을 주장하는 과학자들을 들썩이게 했다. 정세포(정자)를 만들기 위한 유전자는 단 두 개뿐이라는 것을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열쇠)를 모르는 ‘비밀의 방(비밀 채팅)’이다. 카카오톡의 발표대로 서버에 복호키가
저장
되지 않으면 서버를 압수수색해도 대화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비밀의 방은 비밀키를 서버에 남기지 않는 ‘디피-헬만’ 키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디피-헬만 방식은 시스템에 과부하를 주기 때문에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