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것도 과불화화합물이 사용됐기 때문입니다. 3장 반 논문이 과불화화합물 연구 열어 인류가 이런 과불화화합물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7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다양한 생활 용품과 화학 원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한 다국적 기업인 3M은 1940~1950년대에 이 물질이 꽤 쓸모 있다는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심지어 이 중 상당수의 표면에는 물(액체)이 고여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우주에 인류가 아닌 다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앨리슨 혹스 NASA 에임스연구센터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광활한 우주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인정받고 있다. 책 ‘역사의 연구’를 저술한 저명한 역사학자인 아놀드 토인비는 인류 역사상 존재했던 21개 문명 중 현재까지 살아남은 15개 문명 중 하나로 한국 문명을 꼽았다. 대작 ‘총, 균, 쇠’의 저자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한국을 주변 강대국의 문명에 예속되지 않고 자신만의 문명을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증명된 ‘양력’이다. 1900년 9월, 미국의 라이트 형제는 비로소 하늘을 날고 싶었던 인류의 꿈을 실현하게 된다. 유인 글라이더 비행을 실시해 최고 20노트(시속 약 37km)의 속도로 200피트(약 61m)가량을 난 것이다. 라이트 형제는 새가 날개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비행한다는 사실을 포착해 최초의 동력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진학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서 사람을 해치는 무기를 만들기보다는 세계 인류를 이롭게 하는 무언가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더 강해졌다. 김 학부장은 “화학생물공학부에서는 그런 결과물을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며 “반도체 장비를 개발하는 게 시작이었다”고 말했다.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회장. 이 두 사람은 공통점이 하나 있다. 실험실에서 키운 ‘인공고기(Lab-grown meat)’가 인류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지난해 미국의 인공고기 스타트업인 ‘멤피스 미트(Memphis Meats)’에 거액을 투자했다. 소 87만3000마리, 돼지 1672만8000마리, 닭 9억3602만 마리, 오리 4610만10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친구들도 과학에 흥미를 가져 보세요. 어떤 사소한 발견이든 좋아요. 그 발견이 나중에 인류에게 큰 보탬이 될지도 몰라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Part 3. 구름, 파도 같은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비해 오염물질 배출은 적을지 몰라도 여전히 탄소를 배출한다는 문제가 있다”며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며 겪어 왔던 일들을 또 다시 반복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재생에너지의 경우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하기에는 전력 생산효율이 너무 낮다고도 지적했다.현재 핵융합에너지는 기술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생리의학상을 받아도 될 만큼 연구 분야가 효소와 항체로 인류의 질병 치료에 기여한 업적이었기 때문이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의 모호한 경계는 비단 올해에만 나타난 것이 아니다. 2009년에는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업적이, 2015년에는 DNA 복구 메커니즘 연구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진화와 스미스 교수의 파지 디스플레이, 윈터 연구원의 치료용 항체 기술이 만나 수많은 인류를 병마로부터 구한 것이다. 불행과 고난 속에서 꽃피운 노벨상 필자는 아놀드 교수의 연구실에서 2010년부터 1년간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사실 아놀드 교수와의 첫 인연은 이보다 조금 더 거슬러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