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아니다”라며, “사회성이나 언어 능력 등 구체적인 뇌 발달 차이를 비교해 어떤 점이 인류의 운명을 결정했는지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스토리 “휴~, 하마터면 알갱이 폭탄을 그대로 맞을 뻔했어.”“그나저나 미션을 해결했는데도 두 번째 아이템이 다시 나타나지 않네…. 도대체 ... ...
- 블루카본이 도대체 뭐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세 가지로 나누었어요. 블랙카본은 석탄, 석유 등 땅속의 화석연료에 들어있는 탄소예요.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면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대기로 배출되면서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지요. 반대로 생태계는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기도 해요. 그린카본은 육상 생태계가 흡수한 탄소로, 열대우림과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인류가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21세기 말에 난민 신청자는 200%까지 늘어나요. 반면 인류가 노력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1.5℃ 이내로만 오른다면 난민 신청자는 30%만 늘어날 뿐이지요. 그런데 2017년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OECD 26개국 중 4위를 기록해요. 10년동안 배출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나이지리아와 러시아 난민이 인터넷 개발에 기여했어요. 이처럼 난민 과학자를 돕는 건 인류를 위한 일이에요. 그들은 연구를 성공시키겠다는 의지도 강해요. 피난지가 되어준 나라에 감사하기 때문이에요. 무엇보다 아인슈타인도 난민이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주세요! Q.당신이 만난 난민 과학자 ...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탐사의 새벽을 열었던 인류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돈(Dawn)’이 영원한 작별을 고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돈이 연료 고갈로 10월 31일과 11월 1일에 예정됐던 교신을 하지 못했다고 11월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2007년 9월 발사된 돈은 11년 동안 소행성을 탐사했다. 돈이 항해한 거리는 총 6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증명된 ‘양력’이다. 1900년 9월, 미국의 라이트 형제는 비로소 하늘을 날고 싶었던 인류의 꿈을 실현하게 된다. 유인 글라이더 비행을 실시해 최고 20노트(시속 약 37km)의 속도로 200피트(약 61m)가량을 난 것이다. 라이트 형제는 새가 날개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비행한다는 사실을 포착해 최초의 동력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환자는 더욱 흔해졌다. 한번 발병하면 평생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만큼 척추질환은 인류가 반드시 넘어서야 할 과제다. 다빈치 로봇, 좁은 척추에 투입 어려워 문제는 척추가 견고하면서도 매우 예민한 존재라는 점이다. 척추가 몸의 중심을 떠받치는 기둥이면서 신경계의 중심인 척수를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것도 과불화화합물이 사용됐기 때문입니다. 3장 반 논문이 과불화화합물 연구 열어 인류가 이런 과불화화합물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7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다양한 생활 용품과 화학 원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한 다국적 기업인 3M은 1940~1950년대에 이 물질이 꽤 쓸모 있다는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CIPM) 의장이 조금은 떨리는 목소리로, 하지만 담담하게 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로써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불변의 단위’가 탄생했다. ‘불변의 단위’로 ‘단위 혁명’ 지난 11월 16일, 프랑스 파리에서 약 15km 떨어진 도시 베르사유는 이른 아침부터 안개가 잔뜩 끼어 눈앞 2m 거리가 채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막고 안쪽은 따뜻하게 유지한다. 솜털은 클수록, 깃대 있는 깃털은 작을수록 인류는 깃털의 이런 기능을 진즉에 알아봤다. 중국에서는 11세기 송나라 때 거위 털로 의복을 해 입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유럽에서도 14세기 경 이불 속에 거위 털을 넣어 사용했다고 기술돼 있다. 이렇게 거위나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