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와"(으)로 총 2,2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너소개] 베끼기는 그만! 자신의 글을 쓰자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중 두 편을 골랐습니다.‘과동 초이스(Choice)’와 ‘과동 픽업(Pickup)’으로 뽑힌 이유와 꼼꼼한 첨삭, 예비기자를 위한 기사 가이드 등이 이어집니다.지원 자격은요?과학에 열정이 있는, 대한민국 중·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신청은 어떻게 하나요?과학동아 홈페이지에 있는 신청서를 작성해서 ...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생명에 가격을 매긴다. 안전시설을 만들었을 때 얼마나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지와, 만들 때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기 위해서다.예를 들어 보자. 어떤 도로에서 교통사로로 인한 사망률이 10만 명당 1명이고, 이 지역에 총 100만 명이 살고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교통사고로 한 해에 10명이 ... ...
- 폴, 이상한 나라로 떨어지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얘기는 다음에…. 네게 괴짜 수학자들이 달려들 거야. 일단 몸을 숨기자. 나를 따라와!”‘뭐? 언제 봤다고 이래라 저래라야? 나는 집으로 가야겠어!’폴은 자신을 따라오라는 폴리스의 말을 무시한 채 학교 밖으로 걸어나가기 시작했다.“여기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건 분명해. 하지만 여기 ... ...
- 열대 과일이 주렁주렁~! 온난화 대비 농업 현장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한번 만져 보니 촉감이 마치 고무 같았어. 먹어 보기도 했는데, 우리가 먹는 시금치와는 전혀 다른 맛이랄까?인디언 시금치를 심어 보자!❶ 먼저 모종을 옮겨 심을 화분에 *상토를 가득 담는다.❷ 씨앗을 뿌려 싹을 틔워 놓았던 인디언 시금치를 화분에 옮겨 심고 꾹꾹 눌러 준다.❸ 흠뻑 젖을 정도로 ... ...
- 겨울나기 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안녕? 난 온 동네를 돌아다니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다슬이라고 해. 요즘 날씨가 추워져서 그림 그리기가 너무 힘들어. 그림을 그리기 힘든 추 ... 따뜻하게 나면, 겨울이 즐거워지는 것은 물론 2100년의 겨울도 지킬 수 있겠지? 겨울나기 노트와 함께 올 겨울을 지혜롭고 똑똑하게 보내자~ ... ...
- 세계적인 헤어디자이너 '다지지고 뽀까뽀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듯이 깨끗하게 정리정돈됐다.“오우~, 사건 해결하시느라 머리가 엉망이 되셨어!이리 와 봐요. 내가 좀 만져 줄게.”한 시간 뒤. 썰렁홈즈는 태어나 처음으로 파마를 했다. 그리고는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파마를 한 사람이되었다. 이름하여 섭섭박사 파마~!알짜배기 발명정보 일러스트 : 김석도움 :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꾹 찍어서 글자가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해 볼까?❺ 오, 멋지게 잘 나왔군~!잠깐! 음각와 양각음각과 양각은 조각이나 판화 기법 중 하나다. 음각은 주제가 되는 부분을 파서 배경에 잉크를 묻혀 인쇄하는 방법이고, 양각은 배경을 파낸 후 주제가 되는 부분에 잉크를 묻히는 방법이다. 활자를 ... ...
- 초대장을 보낸 주인공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운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도 놓치지 마. 베스트 전시실까지 소개하며 정민이와 용일이는 명예기자 미션을 성공적으로 마쳤어. 하지만 경기도어린이박물관에는 이 밖에도 재미있는 전시실이 많아서, 하나하나 소개하자면 끝이 없을 것 같아. 경기도어린이박물관에서는 앞으로 어린이를 위한 ...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알 주머니야. 민챙이는 껍질이 없는 고둥이야. 서해안 갯벌에서 많이 볼 수 있지. 백령도와 대청도는 진짜 보물섬이었어. 땅과 바다가 살아 숨쉬며 빛을 내고 있었거든. 그래서 우리는 다짐했단다. 보물섬이 앞으로도 그 보물들을 잘 간직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이야. ...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2006년부터 작년까지 독도바다사자를 복원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어요. 5년 동안 러시아와 일본을 포함해 강치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한 마리도 발견하지 못했답니다. 하지만 아직 조사하지 못한 북한과 러시아의 통제지역에 있는 섬에 아직 강치가 살아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를 하고 있어요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