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와집
개와집
곡
d라이브러리
"
와
"(으)로 총 2,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통증을 느끼는지 찾아내는 기술이다.박 소장은 “임상실험을 하는 의료시스템공학과
와
MEMS를 연구하는 기전공학과가 의기 투합해 실용화 사업을 직접 발굴한 것”이라며 “실제 의료기기 제조 기업과 제품 양산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기능성 유산균과 세포 분석기 등 바이오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왕복 장비들을 부착해 우주 비행체의 발사체로도 이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고가의 무기
와
첨단 전자 장비를 갖춘 고가의 전투기들. 따라서 전투시에 적지에 침투해 효과적으로 공격하되 전투기의 손실은 줄여야 합니다. 이 때문에 상대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술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안녕하세요. 한국 독자여러분! 저는 동남아시아 뉴기니아의 밀림 속에 사는 개구리입니다. 3월 5일이 경칩(驚蟄)이라 이렇게 한국에 초대돼 왔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늘 여름 날 ... 한반도에서 개구리가 사라진 경칩을 맞는 날이 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여러분들도 많이 도
와
주실 거죠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기가 없었다. 해법은 역시 더 어려 보이게 다듬기였다. 밤비의 주둥이를 짧게 하고 머리
와
눈을 크게 그려 지금의 밤비가 됐다.미키마우스도 지난 50년 간 점점 아기 같은 모습으로 진화했다. 1985년 미국의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미키마우스가 처음 등장했을 때보다 눈은 2배 가까이, 머리도 ... ...
숀리외 함께하는 사이언스 헬스 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는 거랍니다. 친구들도 과자 대신 간식으로 고구마
와
토마토, 아몬드 같은 음식을 먹어 보세요!몸이 튼튼해지면 또 어떤 점이 좋은가요?저는 체력이 좋아지면서 성적도 덩달아 올랐어요. 그리고 모든 일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답니다. 그게 가장 좋은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강화하는 면역보조제는 암에 걸려 면역력이 약해진 인체가 항원을 잘 인식할 수 있게 도
와
준다.[8년 전 미국에서 시작된 ‘핑크리본 캠페인’은 매년 ‘유방암 예방의 달’인 10월에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 전세계 40여 개국 100여개 도시에서 열린다.] 3년 안에 유방암치료백신 나올 것사실 암 ... ...
PART 1. 낭낙이
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보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반려동물과 행복하게 사는 법PART 1. 낭낙이
와
순대 이야기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PART 3. 반려동물이 가져다 준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람에게 전염된 H5N1형 조류 인플루엔자의 첫 사례가 나오며 현실이 됐다.해결도시화
와
함께 슬럼 거주민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유엔인간정주계획 (UN-HABITAT)은 2010년 3월 “2010년 전세계 슬럼 거주민 수는 8억 2760만 명”이라고 발표했다. 이 수치는 10년 전인 2000년에 비해 약 5500만 명이 늘어난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haben keinen Sonntag!(식물에게는 일요일이 없다)”독일 유학 시절 일요일도 없이 학교에 나
와
연구에 몰두하던 지도교수가 하던 말이 늘 기억에 남았다는 강 교수는 그 자신도 일요일도 없이 지난 세월을 보냈다. 그리고 2001년, 17년 만에 호헨하임대를 찾았을 때 그는 학교 주변이 각종 식물들로 가득 차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귀한 새다. 중국 흑룡강과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의 습초지에서 번식하고 이곳에
와
겨울을 보낸다. 이름처럼 몸은 잿빛이지만 특이하게도 눈 주위는 선명한 빨간색이었다.“큰 두 마리는 부부고 가운데 작은 것은 새끼죠. 두루미는 저렇게 가족 단위로 산답니다.”서울에서 온 강서림 씨는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