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위성들이 형성됐다. 그리고 남은 미행성들 중에서 대부분은 행성들의 섭동으로 해왕성 바깥쪽으로 밀려나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을 이루고 있다(그림2-D). 이 미행성이 태양 가까이 지나게 되면 긴 꼬리를 내는 혜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명왕성은 카이퍼벨트에 들어 있던 큰 미행성으로 ...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과학동아 l1999년 06호
- ① 열번째 행성은 없는가? - 1백50년 탐색 의외의 수확들1841년 존 아담스는 천왕성의 궤도운동을 조사하던 중 상당한 양의 궤도오차가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아담스는 그의 계산을 그리니치 천문대에 제출했으나 나이가 너무 어리고 무명의 천문학자였기 때문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1845년 프랑 ... ...
- 현대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 연구반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등에 연수갔을 때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런 구조 덕택에 회전할 때 안쪽 바퀴와 바깥쪽 바퀴의 회전수를 달리하는 차동장치가 필요없었기 때문에 부품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하면서 "이런 경험이 물리 공식 수십개를 외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학생들에게 체득하게 해준다"고 덧붙였다 ...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 바깥에 또다른 태양계가 있지 않을까 항상 궁금해 해왔다. 이 궁금증은 이해가 간다. 만약 또다른 태양계가 있다면 거기에 생물이 살고 있을 수 있고 나아가 거기에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살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어떤 이들은 확실한 증거나 논거 없이 우리 인 ...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윗면을 받침점으로 삼는 지렛대와 같아서, 기둥 안쪽에 있는 지붕의 누르는 힘이 기둥 바깥쪽의 처마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 방법은 부재를 짜맞추는 기술이 힘들기 때문에 그리 널리 보급됐던 것 같지는 않고 지금 남아있는 사례도 단 한 건에 불과하다. 그 대신 보다 간편한 대용품으로 ... ...
-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과학동아 l1999년 05호
- Phobos, 안쪽) 광도: 11.3등급, 공전주기: 0.3189일, 자전주기: 7.6538시간데이모스(Deimos, 바깥쪽) 광도: 12.40, 공전주기: 1.2624일, 자전주기: 30.2986시간■ 18일: 초승달과 금성이 쌍둥이자리에서 접근이달 내내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고 있는 금성이 18일 저녁하늘의 초승달과 쌍둥이자리서 만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과학동아 l1999년 05호
- 1925년 1월 1일은 은하수, 즉 우리은하 바깥에 또다른 은하가 있는가 하는 오랜 논쟁이 끝나고 새로운 우주시대가 열린 날이다. 이날 미국 천문학회에서 외부 은하의 존재를 입증하는 에드윈 허블의 논문이 발표되는 순간, 인류는 상상을 뛰어넘는 광대한 우주를 느끼게 됐다.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는 ...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제일 안쪽의 원에까지 이르도록 만들어져 있었다. 이 힐 스톤 가운데 현재는 스톤헨지 바깥쪽 멀리 하나만이 남아 있다. 스톤헨지의 중심 제단에서 힐 스톤을 바라보면 하짓날 태양의 위치가 힐 스톤의 정점과 일치한다. 이것은 이 당시 고대인들이 천체의 운행 과정을 정확히 읽고 있었으며 이 ...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나무뿐 아니라 동물도 자신의 몸 곳곳에 '나이테'를 가지고 있다. 나이테는 자신과 환경에 대한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장이다.흔히 ‘연륜을 쌓아 간다’ 라는 말을 한다. 이때의 연륜(年輪)이란 한해 한해 쌓아올린 역사를 의미하는 것.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해를 나타내는 고리’가 된다. 해(나 ...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천문학의 중심은 관측에 있다. 우주론 역시 관측된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런데 관측우주론에는 여러 가지 딜레마가 있다. 우주는 지금 팽창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팽창할지 알 수가 없으며, 우주의 나이보다 그 안에 생성된 구상성단의 나이가 많은 경우도 있다. 왜 그럴까.우주론은 우주의 구조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