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예전 우리네 겨울 생활을 생각해보면, 땔감, 아궁이, 굴뚝, 아랫목 등이 연상된다. 한민족의 난방법이 바닥 난방인 온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온돌을 순 우리말로 구들이라고 한다. 구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우리 선조의 지혜는 어떤 것일까.겨울철 찬바람이 불어오면 따끈따끈한 아랫목에 펼쳐둔 ... ...
-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과학동아 l2000년 12호
- 기립단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발목의 접히는 정도와 방향이다. 똑바로 달리거나 발목이 바깥쪽으로 접히는 사람이 드문 반면 대부분의 경우 발목이 안쪽으로 접힌다. 문제는 발목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접히는 경우(오버프로네이션)에 발생한다. 이때 신발의 역할은 발목이 과도하게 접히거나 ...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보면 고리는 크게 두부분으로 나눠진다. 안쪽에 밝게 보이는 부분을 ‘B고리’, 바깥쪽의 어두운 부분을 ‘A고리’라고 한다. 자세히 보면 A고리와 B고리 사이에는 빈틈이 있는데, 이것은 1675년에 카시니가 발견해서‘카시니 틈’이라고 부른다. 이 틈은 망원경의 성능을 검사하는데 가장 많이 ... ...
-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 최후의 임무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가 내년 2월 26-28일경, 태평양 속으로 수장된다. 미르의 이런 최후는 러시아 의회가 지난 11월 16일 최종 결정했다. 1986년 2월 20일 발사된 미르는 올해 만 14세로 무게가 1백40t에 달한다. 다른 우주선과 결합하기 위한 6개의 도킹 모듈과 연구공간이 마련돼 있어, 그 동안 ... ...
- 타우 제로 (Tau Zero)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수리 로켓을 내보내는 수밖에 없다.성간물질이 희박한 초진공상태는 아득히 먼 우주 바깥쪽, 은하와 은하 사이의 막막한 공간 뿐이므로, 결국 그들은 은하간 공간으로 나가기로 하고 항로를 수정한다. 목적지로 잡은 방향은 4천만광년 저편의 처녀자리 국부은하군. 이제 그들은 은하계를 벗어나게 ...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커질수록 둘레가 주로 강한 섬유질로 만들어지고 안쪽은 부드러운 조직으로 이뤄진다. 바깥쪽의 섬유질은 나무의 무게(압축력)와 비바람 같은 외부 힘(인장력)에 잘 견디는 역할을 하고, 안쪽의 부드러운 조직은 영양분을 실어 나른다. 수십층이 넘는 고층 건물이 안전할 수 있는 것은 건물 외곽이 ...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세포가 서로 녹아 뒤섞이지 않을까.그 이유는 물에 녹지 않는 세포막이 세포 안쪽의 물과 바깥쪽의 (다른 세포의) 물을 구분해주기 때문이다. 때문에 단 한개의 세포가 태평양 한가운데 있다 하더라도 세포의 내용물은 그 많은 태평양의 물에 의해 희석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만약 세포막이 없다면 ... ...
- 천왕성을 찾아보자과학동아 l2000년 11호
-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하늘의 신 우라누스라는 이름을 가진 천왕성은 옛날부터 알고 있었던 5개의 행성을 빼면 현대에 들어와 발견한 첫행성이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까지만 해도 토성이 태양계의 가장 바깥을 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천왕성은 지구보다 다섯배 가량 크지만 발견 후 2백여년 ...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슈뢰딩거가 제시한 파동역학은 고전역학의 중요한 문제를 비롯해 수소원자의 에너지 문제를 풀어나갔다.그 후 원자 이론에서 가장 관심을 끌던 제만 효과와 쉬타르크 효과도 해결했다.그러면서 양자역학은 화학결합의 원리를 설명하고 양자장이론으로 성장하면서 전성시대를 이뤘다.1926년 1월 27 ...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과학동아 l2000년 10호
- 간직한 '우주의 방주' 우주선 관리하는 거미 모양의 생체로봇22세기 어느날, 아득한 우주 바깥쪽에서 태양계로 접근해오는 작은 천체 하나가 포착된다.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놀랍게도 그것은 길이 50km, 지름 20km의 원통 모양 인공물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지구는 순식간에 떠들썩한 흥분에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