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뉴스] 9000만 년 전 익룡 우리나라에 모여 살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6호
생활했다는 걸 확실히 알게 해주는 증거이지요. 허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전라남도 화순군 서유리의 공룡화석지에서 익룡 발자국 화석 350여 개를 발굴했다고 지난 6월 23일 발표했어요. 익룡은 날개가 있어 하늘을 날아다니는 파충류인데 약 6600만 년 ... ...
[특집] 건물 15층 높이에서 시속 100km로 다이빙! 롤러코스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않아도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답니다. 한국교통대학교 철도공학부 박찬배
교수
는 “선형 동기 전동기는 자기부상열차 등 철도 추진 장치로 연구되는 기술”이라며 “최신 롤러코스터에도 추진이나 제동 장치로 쓰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차와 롤러코스터는 둘 다 바퀴와 선로를 ... ...
[기획] 밤만 되면 내 얼굴에서 엉금엉금? 모남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안녕! 나는 이다솔 기자의 반려 모낭충이야. 약 30년 전부터 우리 가문은 기자의 피부에서 살아왔어. 나는 기자의 피부 속에 꼭꼭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엉금엉금 기어나와 짝짓기를 해. 기자가 안 씻어서 모낭충이 가득한 거 아니냐고? 걱정 마, 너네 피부에도 나 같은 반려충이 늘 함께해♥ ▼ ... ...
[기획] 천하태평 모낭충 인간과 필수 공생충돼 행복 ♥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한다”며, “사는 데 필요한 것을 숙주에게 모두 얻기 때문”이라고 말했지요. 페로티
교수
는 “모낭충은 이제 더이상 숙주인 사람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필수 공생충’이 되어가고 있다”고 강조했어요. 이어서 “우리 피부는 다양한 유기체로 덮여 있다”며, “모낭충은 우리 모공을 청소하며 ... ...
[가상 인터뷰] 목성은 왜 토성처럼 큰 고리가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목성의 위성들은 질량이 커서 얼음 조각의 궤도를 바꿔버릴 만큼 중력이 큰 거지요.케인
교수
는 “거대한 행성은 거대한 위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히려 고리를 가질 수 없다”며 “이 연구로 행성의 역사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답니다 ... ...
[기획] 모낭충 300만 년 전부터 인류와 동거동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흔적을 볼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어요. 미국 보든대학교 생물학과 마이클 팔로폴리
교수
가 속한 공동연구팀이 참가자 70명에게서 얻은 모낭충 241마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지요. 미토콘드리아는 진핵생물의 세포 안에서 세포 호흡을 담당하는 소기관으로, 어머니를 통해서만 전달돼 ... ...
[특집] 최초 공개! ♬맴♪맴♪맴♩맴 참매미의 은밀한 땅속 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연구하기 정말 어렵기 때문이래.그런데 얼마 전 이화여자대학교 행동생태연구실 장이권
교수
팀이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의 도움을 받아 참매미의 비밀을 푸는 논문을 발표했대. 베일에 쌓인 참매미의 땅속 생활을 최초 공개할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최초 공개! ... ...
[4컷 만화] 마술이 아니라 소리로 공중부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월 29일 스페인 나바라공립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이이고 에르쿠르디아
교수
팀이 소리로 물체를 띄울 수 있는 기계인 레비프린트(LeviPrint)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레비프린트가 있으면 물체를 직접 들고 쌓거나 조립하지 않아도 집이나 다리 모형 등 원하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지요.레비프린트는 ... ...
[과학 뉴스] 한국계 수학자 허준이
교수
첫 필즈상 수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이외에도 ‘다우링-윌슨 추측’, ‘오쿤코프 추측’ 등의 조합론 문제를 풀어냈지요. 허
교수
는 기자 회견을 통해 “한국에서 따뜻하고 만족스러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며 “청소년기에 한국에서 한 반에 40~50명과 함께 생활하며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이 지금의 나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 ...
[가상 인터뷰] 쓱싹쓱싹, 알아서 양치질 해주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장점이 있어요. 사람마다 다른 치아 모양에 맞게 움직이도록 만들 수 있기도 하죠. 구
교수
는 “양치질을 하거나 칫솔질을 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이나 장애가 있는 분들이 이 로봇을 사용해 편하게 이를 닦을 수 있을 것”이라며 “더 많은 사람들이 이와 잇몸을 건강하게 만들 수 있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