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모낭충 300만 년 전부터 인류와 동거동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흔적을 볼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어요. 미국 보든대학교 생물학과 마이클 팔로폴리
교수
가 속한 공동연구팀이 참가자 70명에게서 얻은 모낭충 241마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지요. 미토콘드리아는 진핵생물의 세포 안에서 세포 호흡을 담당하는 소기관으로, 어머니를 통해서만 전달돼 ... ...
[기획] 천하태평 모낭충 인간과 필수 공생충돼 행복 ♥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한다”며, “사는 데 필요한 것을 숙주에게 모두 얻기 때문”이라고 말했지요. 페로티
교수
는 “모낭충은 이제 더이상 숙주인 사람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필수 공생충’이 되어가고 있다”고 강조했어요. 이어서 “우리 피부는 다양한 유기체로 덮여 있다”며, “모낭충은 우리 모공을 청소하며 ... ...
[특집] 건물 15층 높이에서 시속 100km로 다이빙! 롤러코스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않아도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답니다. 한국교통대학교 철도공학부 박찬배
교수
는 “선형 동기 전동기는 자기부상열차 등 철도 추진 장치로 연구되는 기술”이라며 “최신 롤러코스터에도 추진이나 제동 장치로 쓰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차와 롤러코스터는 둘 다 바퀴와 선로를 ... ...
[가상 인터뷰] 목성은 왜 토성처럼 큰 고리가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목성의 위성들은 질량이 커서 얼음 조각의 궤도를 바꿔버릴 만큼 중력이 큰 거지요.케인
교수
는 “거대한 행성은 거대한 위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히려 고리를 가질 수 없다”며 “이 연구로 행성의 역사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답니다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사라지는 지구의 역사를 지켜라! 지질유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지질학 명예
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
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숫자뉴스] 9000만 년 전 익룡 우리나라에 모여 살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6호
생활했다는 걸 확실히 알게 해주는 증거이지요. 허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전라남도 화순군 서유리의 공룡화석지에서 익룡 발자국 화석 350여 개를 발굴했다고 지난 6월 23일 발표했어요. 익룡은 날개가 있어 하늘을 날아다니는 파충류인데 약 6600만 년 ... ...
[만화 뉴스] 몸에 넣으면 고통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뇌까지 통증 신호가 이동하지 못해 고통을 못 느끼게 되죠. 연구에 참여한 존 로저스
교수
는 “이 장치로 수술한 환자의 고통을 약물 없이 줄여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아야! 곤충도 통증을 느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격파장에서 마주한 푸푸와 초파리. 누가 더 격파를 잘 할까? 곤충은 고통을 못 느끼니까 더 잘할 줄 알았는데, 엥? 곤충도 고통을 느끼구나…! 초파리야, 어떻게 된 거니? 안 ... 통합생물학및약리학과 에드가월터스
교수
팀●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생물학과 다니엘 트레이시
교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범인은 바로 바나나? 과일 속 DNA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1억t(톤) 이상 경작됐지만 절반에 달하는 5,000만t 정도가 폐기물로 버려졌어요. 스테인벅
교수
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갈변 과정을 이해하고 억제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갈변을 줄일 연구를 이어서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기공: 식물의 잎이나 과일 껍질에 있는 숨구멍. 도전! ... ...
[과학 뉴스] 한국계 수학자 허준이
교수
첫 필즈상 수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이외에도 ‘다우링-윌슨 추측’, ‘오쿤코프 추측’ 등의 조합론 문제를 풀어냈지요. 허
교수
는 기자 회견을 통해 “한국에서 따뜻하고 만족스러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며 “청소년기에 한국에서 한 반에 40~50명과 함께 생활하며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이 지금의 나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