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 만화] 절개 없이도 쥐의 머릿속을 뚜렷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연구에 참여한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최원식
교수
는 “빛의 특성을 생명체를 관찰하는 기술에 적용해 현미경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며 “뇌신경과학을 포함해 다양한 정밀 측정이 필요한 산업 분야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기획] 죽은 거미로 물건을 들어 올린다?! 거미 그리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설명했습니다. ●인터뷰 다니엘 프리스턴(미국 라이스대학교 기계공학부 조
교수
)파예 얍(미국 라이스대학교 기계공학부 박사과정생)“우연히 발견한 거미를 로봇 연구에 응용했습니다” Q거미 그리퍼의 아이디어를 얻은 순간을 묘사해 주세요. 파 새 연구실을 공사하는 동안 건물 복도 ... ...
[4컷 만화] 치타처럼 쌩! 질주하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달리는 치타보다 약 3배 정도 빠르게 움직이는 거죠. 연구에 참여한 마틴 칼텐브루너
교수
는 “이 로봇이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보며 놀랐다”며 “나중에 의료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자기장 : 자석의 힘이 미치는 공간 ... ...
[이달의 과학사] 1895년 9월 15일 최초의 인공감미료 사카린 특허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집에 돌아와 저녁을 먹고 있었습니다. 그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화학과 아이라 램슨
교수
의 연구실에서 석탄 유래 물질인 콜타르를 활용해 실험하고 있었지요. 그런데 그날 저녁 식사는 뭔가 달랐습니다. 한입 베어 문 빵에서 평소에 없던 단맛이 강하게 느껴졌거든요.알고 보니 단맛은 빵이나 ... ...
[기획] 도심 속 빗물 어쩌다 갈 곳을 잃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오염돼 물이 빠져나갈 곳을 찾지 못하면서 도시가 물에 잠길 수밖에 없었습니다.정창삼
교수
는 “공공기관은 빗물 저장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시민은 빗물받이에 담배꽁초 같은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등 평소 빗물 통로 관리를 소홀히 하면 안 된다”고 전했습니다 ... ...
[기획] 빗물에게도 길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빗물 흡수 능력을 강조했습니다. ●인터뷰한무영(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명예
교수
)“각자 맡은 만큼만 빗물을 처리해요.” 각자가 자기 구역만큼 책임지는 거예요. 빗물 터널과 도시 녹지화 등의 방안도 있지만, 각 건물에 떨어진 빗물을 스스로 처리하는 빗물 저금통을 설치한다면 가장 ... ...
[그래프 뉴스] 사람 대신 풍덩~ 바닷속 1km 잠수하는 로봇 등장!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8호
만지는 물체의 윤곽이나 물의 움직임을 함께 느낄 수 있어요. 우사마 카팁 스탠퍼드대
교수
는 “오션원케이가 바닷속에 가라앉은 배 ‘크리스피호’를 만졌을 때 마치 내가 물속에서 직접 만지는 기분이 들었어요. 로봇을 통해 바닷속 깊은 곳의 환경을 사람이 느낄 수 있었던 건 이번이 처음이지요 ... ...
[만화 뉴스] 이 기계로 화성에서 호흡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월 16일 포르투갈 리스본대학교 물리학과 바스코 구에라
교수
팀은 화성에서 산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플라즈마 리액터’라는 기계는 화성 대기의 약 95%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분자에 전자를 충돌시켜 산소를 분리해냅니다. 지난해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화성 ... ...
[지구사랑탐사대] 여름캠프,천리포에서 자연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0기 대원들이 태안의 천리포수목원에 모였어요. 지사탐 대장이신 이화여자대학교 장이권
교수
와 생태를 탐구하는 다양한 연구원들과 함께 해양과 습지 등 다양한 환경에 사는 여러 생물들을 만나기 위해 모였지요. 조피볼락이 누군지 아시나요? 무궁화의 비밀은요? 지금부터 들려 드릴게요 ... ...
[과학 뉴스] 메갈로돈이 범고래 크기의 먹이를 꿀꺽?!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이는 현재 바다의 최고 포식자라고 불리는 범고래 크기와 비슷하죠. 피미엔토
교수
는 “메갈로돈이 대양을 가로지르는 최상위 포식자임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1kcal(킬로칼로리): 1kg의 물의 온도를 1°C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