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녹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매년 북극과 남극, 고산지대의 빙하가 모두 녹고 있다는 것을
관측
하고 있어요.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연구팀은 그린란드에 있는 거대 빙하 ‘자카리아 이스트롬’에서 매년 50억t에 가까운 얼음이 녹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2016년 미국과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규모를 처음에는 7.9로 발표했다가 3시간 뒤 8.8로 수정했다”며 “만약 중력장의 변화를
관측
했다면 수 분안에 9 이상으로 지진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074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네이처’에 발표했다. 530일간 우주에 머물며 채집한 우주선(cosmic ray)에서 그동안
관측
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물리 현상의 증거를 포착했기 때문이다. 이들이 발견한 새로운 현상이 암흑물질의 존재를 뒷받침할 근거로 확인되면 투교수에 이어 중국에서 두 번째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나올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오로라를 봤다는 독일 천문학자의 기록도 찾았다.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동시에 오로라를
관측
한 최초의 기록이다. 하야카와 교수는 “태양 흑점 개수나 오로라 발생 기간 등을 고려해 지금까지 최대 규모로 알려진 1859년 카리브해의 오로라보다 2배 정도 강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doi:10.3847/2041-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검출한 일부 신호를 지상으로 송신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박 교수는 “우주
관측
실험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기초 분야부터 최첨단 탑재체 개발까지 국내 연구진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며 “포스트 ISS 시대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수 있었다고 해요. 이곳은 전신을 품은 레이저가 출발하는 장소 이기도 합니다. 오래된
관측
소지만, 최근까지도 쓰였다고 해요. 가우스가 천문학을 연구하면서 남긴 업적은 괴팅겐에 도착하면 바로 찾을 수 있어요. 괴팅겐역에서 나오면 보이는 버스정류장 근처 원뿔 모양 건축물에 가우스의 업적이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해가뜨고 지는 건 지구의 자전 때문인데, 지구는 태양 둘레도 돌고 있다. 따라서
관측
자가 볼 때 태양이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인 ‘1태양일’이 지나려면 지구는 공전한 만큼 더 자전해야 한다. 공전 속도가 매일 다르므로 1태양일도 변한다. 우리는 편의를 위해 1태양일을 1년에 걸쳐 평균을 낸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카드키 두 개를 모두 지참해야 들어갈 수 있다. 세포 움직임 동영상처럼 실시간
관측
터널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게 이어져 있었다. 에벨링 팀장은 “길이가 3.4km에 이른다”고 말했다. 750m인 일본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SACLA)보다 무려 3배 이상 길다.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1km 정도다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활동의 경우 천체 강연이나 망원경에 관한 강연, 도시에서도 잘 보이는 별자리, 달 등을
관측
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문 캠프는 빛 공해가 적은 지역에 위치한 천문대를 직접 방문해 늦은 시간까지 많은 별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지질 답사는 한탄강이나 시화호,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정확히 알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으로 지진을 감지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지진
관측
소를 세울 수 없는 가난한 나라에서도 지진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포항에서 서울까지 흔들~! 지진에서 살아남기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Part 2. 미리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