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매초 1백번 정도씩 자전하면서 규칙적으로 전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바로
중성자별이 방출하는 전파의 주기에 나타난 불규칙성을 통해 백색왜성이 확인됐다. 그 후 여분의 불규칙성을 두고 제3의 천체가 존재한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그 천체가 행성인지는 알 수 없었다. 결국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냈다. 클라크는 지구밖에 펼쳐진 넓은 우주공간 중에서 어느 특정한 영역에 주목했다.
바로
적도상공 3만5천8백80km지점의 궤도이다. 위성이 이 지점에서 지구 주위를 돌게 되면 그 공전주기가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은 24시간이 돼 결국 특정 지역의 상공에 계속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부족하다는데 있다. 과학자들조차 외국제품은 믿어도 국산제품은 못미더워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국산제품의 정확한 사양이나 성능이 데이터로 보증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국내 진공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즉 진공장비에 대한 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난자 하나가 걸린다면 막 두께만큼의 동결액만 난자 주위에 남을 것이다. 이런 루프를
바로
급속냉동시키면 동결액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다.정자나 난자 이외에도 배아(수정란)를 냉동시킬 수 있다. 배아는 난자에 비해 동결과정에 덜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좀더 초기에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여성이나 어린이들에 의해 주로 행해졌다고 한다. 따라서 콜린지 박사는 사람 고기가
바로
질병의 원인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쿠루는 주로 뇌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프리온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일반적인 단백질은 3차원 구조가 변형되면 대부분 기능을 상실한다. 그러나 프리온은 구조가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산소가 옅은 농도로 담겨 있는 통에 스파크를 일으켰다. 그러자 잠깐 불꽃이 일더니
바로
잠잠해졌다. 자세히 살펴보니 여기 저기에서 팥알만한 작은 불꽃들이 희미하게 빛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를 불꽃공(flame ball)이라고 이름지었다. 마치 UFO처럼 날아다니는 불꽃공은 미미한 빛을 내면서도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실험실에서 보낸 것입니다. 이곳에서는 쥐의 뇌신경세포를 배양접시에서 키우고 있는데
바로
이 세포들이 전기신호를 보낸 당사자입니다. 배양접시에는 60개의 전극(MEA, Multi-Electrode Array)이 꽂혀있습니다. 이 전극이 신경세포들의 전기신호를 포착한 다음 인터넷을 통해 로봇 팔에 전달한 것입니다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교수에게는 이같은 연구과정에서 새벽까지 함께 고민했던 연구의 동반자가 있었다. 그가
바로
고신대 의대 박병채 교수다.“박병채 교수님과의 인연은 어떻게 시작됐습니까?”“부산대로 온지 얼마 안된 1987년 가을 박 교수님을 만났습니다. 그해 가을 충남대 의대에서 암 심포지엄이 열렸는데,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깔려 있어 눈과 얼음을 녹이기도 한다.더 위험한 상황이 터널 안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로
안개다. 알프스 등 세계의 추운 지방에 있는 긴 터널은 안개가 수시로 낀다.터널 전문가인 유신코퍼레이션 문상조 전무는 “국내 일부 터널에서도 계절에 따라 안개가 낀다는 보고가 있다”며 “이런 곳은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 있을 것이다. 지금처럼 불편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가상현실시스템을
바로
뇌의 감각기관과 연결함으로써 말 그대로 현실과 구별할 수 없는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이 구현되는 것이다. 현재 인공지능과 뇌공학기술의 발전 속도로 볼 때 약 10년 안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 ...
이전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