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를 분석한 결과 펜타쿼크는 K+ 중간자와 중성자로 붕괴하는 것이었다.이 결과는 곧
바로
2003년 4월 러시아의 DIANA 그룹이 제논(Xenon) 원자핵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검증됐다. 그리고 7월에는 미국 제퍼슨 연구소의 CLAS 그룹이 중수소 원자핵을 이용해 그 결과를 다시 확인했다. 이 실험에는 경북대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성능을 갖고 있다. 이전의 컴퓨터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계산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바로
이 점 때문에 보안시스템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생겼다. 양자컴퓨터가 가장 훌륭하다고 알려진 기존 보안시스템의 암호를 모두 풀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는 최고의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는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교수가 윌 헌팅의 장래를 놓고 말다툼할 때 잠시 언급된 수학 천재이자 테러리스트가
바로
카진스키다. 신념을 위해 폭력을 행사한 카잔스키는 또다른 미치광이 과학자가 아닐까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진관측이 화성 관측의 핵심을 이뤘다. 하지만 지금은 보다 강력한 무기가 발명됐다.
바로
CCD를 이용한 관측이다.최근 행성 관측에서는 CCD관측이 기존의 사진 관측분야를 대체해버릴 만큼 큰 인기다. 고가인 전문 CCD가 없어도 디지털카메라나 웹켐을 써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세밀히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세포와 조직, 기관은 어떤 변화를 겪는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학문이
바로
‘저온생물학’(cryobiology)이다. 저온생물학의 가장 큰 관심은 물론 인체의 냉동이다.저온생물학이 내놓은 최신의 연구결과는 지난 2002년 미 캘리포니아주립대(UCLA)에서 개를 2℃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킨 뒤 다시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없다.이런 기체에 대해서는 부가적인 냉각장치를 이용한다.
바로
‘팽창엔진’이다. 헬륨이나 수소, 네온 등은 팽창엔진을 이용해 최대 역전온도 이하로 온도를 낮춘 뒤, 줄-톰슨 효과를 이용해 액화시킨다.따라서 팽창엔진은 효율적인 극저온 냉동기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잡아먹지 않는다. 어떻게 자신의 형제가 아닌 동족을 구별할 수 있을까. 그것은
바로
양서류는 특유의 냄새를 통해 자신의 부모나 형제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필자의 연구실에서는 또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알을 부화시켜 2-3마리의 형제끼리 함께 살게 했다. 10일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프리즘 역할을 한다. 빛이 물방울을 통과한 후 여러가지 색깔로 분리돼 나타난 것이
바로
무지개다.검은 도화지에 붙인 미세한 유리구슬은 공기 중에 떠있는 물방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 불빛을 도화지에 가까이 하거나 해를 등진 채 도화지를 들고 보면 도화지에 붙어 있는 유리구슬에서 빛이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람과 다른 독특한 구조가 있다. 눈의 망막 뒤쪽에 있는 타페텀(tapetum)이라는 반사층이
바로
그것. 이곳에서는 동공으로 들어와 망막을 통과한 빛을 반사시켜 망막으로 되돌려보낸다. 빛이 희미할 때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눈에 받아들였던 빛을 모아 한번 더 쏘아보내는 것이다. 이렇게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온혈은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다.변 교수는 이같은 대류현상이 일어나기 위한 조건이
바로
돌밭의 적절한 경사라고 말한다. 경사가 완만하면 공기의 대류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고, 급경사이면 공기 대류가 너무 빨리 진행돼 얼음골의 냉기 보존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얼음골의 경사는 6 ... ...
이전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