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가 아주
큰
여자? 화제의 착시 사진
팝뉴스
l
2019.02.13
팝뉴스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에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이미지다. 해외 네티즌들은 잠시 어안이 벙벙하고 혼란스러워진다고 말한다. 그도 그럴 것이 사진 속 여성의 체형이 너무나 이상하다. 몸은 가냘프다. 흔히 볼 수 있는 슬림한 스타일이다. 그런데 머리는 굉장히 크다. 또 우락부락한 남자 ... ...
상실감 두려워 운전대 잡는 고령 운전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없다는 사실을 밝히면 스스로 독립성을 잃는다는 상실감을 느낀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미국 자동차협회 교통안전재단이 지난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65~79세 운전자 600명 중 83%는 가족이나 의사와 운전능력 상실에 대해 논의해 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안전하게 운전할 능력을 ... ...
[뉴스룸]과학기술계가 정말 일자리 만들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더 커졌다. 지난달 로드맵이 발표된 직후 일부 과학자도 의문을 제기했다. “이 정도
큰
계획을 세웠으면 실현할 기술에 대한 근거가 있지 않겠느냐. 보고서든 문서든 보여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는 한 과학자는 “돌아온 건 허술한 내용의 보고서 몇 장이었다”고 말했다. 기술적 검토가 ... ...
유석재 핵융합硏 소장 ”플라즈마 1억도 달성은 두 번째 마일스톤 넘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깨어난 상태로 봐야 합니다. 그만큼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 달성은 핵융합 연구에서
큰
이정표를 세운 것입니다.” 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은 지난해 ‘한국형초전도핵융합실험장치(KSTAR) 연구센터가 이뤄낸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 성공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유 소장은 ... ...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KSTAR, 첫 이온온도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밀도와 온도를 곱한 값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야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데 태양만큼
큰
중력을 얻기 힘든 지구에서는 태양과 유사한 촘촘한 플라즈마 밀도를 만들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지구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려면 이론상 태양 중심 온도인 1500만℃보다 7배 가량 높은 1억℃의 초고온 ... ...
우는 주인을 달래는 멍멍이
팝뉴스
l
2019.02.13
제공 해외 SNS에 유포되면서
큰
인기를 얻은 사진이다. 반려견이 입에 물고 있는 것은 양말이다. 새 양말은 아니고 주인이 신었다가 벗은 것이다. 반려견은 이 양말을 사랑한다고 한다. 양말이 개에게는 정말 소중한 장난감이자 친구이다. 그런데 이 양말을 물고 주인에게 접근한 이유를 알면 더욱 ... ...
할머니에게 보낸 간 떨어지는 사진
팝뉴스
l
2019.02.12
사진을 본 할머니는 얼마나 놀랐을까. 심장이 멎을 뻔하고 간 떨어질 뻔 했다고 해도
큰
과장은 아닐 것이다. 사진 공개자의 장난기와 유머 감각이 돋보인다는 평가가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EU, ‘1조2000억원 짜리’ R&D 빅프로젝트 본격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세포와 유전자 치료의 발전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암과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
큰
희망이 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복잡한 과정과 비싼 비용 탓에 잘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것이다. 태양에너지 기술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도 최종 후보에 올랐다. ... ...
암 유발 후성유전 인자 ‘히스톤 단백질’ 변성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김정애 생명연 유전체맞춤의료연구단 선임연구원. 생명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의 기능이 DNA 염기서열 변화없이 유전자 기능 변화가 유전되는 ‘ ... 줄기세포 분화나 암세포 분화 및 역분화를 통해 조절되는 다양한 질환 치료제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돌고래의 뇌는 1600g으로 1300g인 사람보다도 크므로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뇌가
큰
걸로 따지면 코끼리는 5kg가 넘는데 그렇다면 코끼리도 거울을 볼 줄 알아야 하는 것 아닐까. 물론 코끼리를 대상으로 거울 마크 테스트를 했는데 뜻밖에도 코끼리는 통과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는 실험설계가 ... ...
이전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