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융합"(으)로 총 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지금의 7개국이 완성되기에 이른다. ITER의 새로운 설계가 완료된 이후부터는 어디에 핵융합실험로를 건설할지를 두고 참여국들이 신경전을 벌였다. 자국에 ITER를 둔다는 건 기술력과 접근성뿐 아니라 수백수천배의 부가적인 경제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2003년 ITER사업에서 철수한 캐나다가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9]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0”2015.12.02
- 먼저 핵융합의 연료인 수소와 삼중수소가 필요하다. 이어 이들 원자핵들이 결합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1억 도 이상의 플라즈마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둬둘 수 있는 거대한 토카막과 같은 가둠장치가 있어야 한다.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1911년 11월 18일 영국의 스코트가 드디어 남극점에 도착했다. 하지만 그곳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꽂혀 있었다. 나흘 전인 14일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이 이미 남극점 ... 것이다. 그 중심에는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물질을 담기 위해 가장 차가운 그릇을 만든 한국의 핵융합 기술이 있다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위한 명쾌한 해답을 내놓는 과정 속에 있다. 지구 위의 태양이라는 꿈을 이루어 줄 국제핵융합실험로인 ITER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원료로 초전도자석에서 나오는 강력한 자기장이 1억5000만℃까지 올라가는 플라즈마를 가두게 된다. 이 실험이 성공하면 인류는 태양보다 뜨거운 태양을 만들어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2015.11.24
- 30초간 고성능 플라즈마 상태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올해도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필요한, 그리고 플라즈마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300초에 한걸음 더 다가갈 예정이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생애주기처럼 이론적으로 플라즈마의 타임스케일을 300초라고 보고, 그 시간 안에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2015.11.18
-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 모드를 뜻하는 H-mode의 세계 최장시간인 48초를 달성하는 등 핵융합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일궈낸 바 있습니다. 과연 2015년 올 해에는 어떤 새로운 도약을 보여주게 될지 매우 기대됩니다. 남은 기간 동안 무사히 실험을 진행하여 다시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할 도약을 ...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IBS l2015.11.18
- 최근 줄기세포 연구는 단순한 기능세포로의 분화뿐만 아니라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융합시켜주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2014년 9월 일본 이화학연구소에서는 노인성 망막황반변성증 환자의 피부세포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얻은 뒤 망막세포로 만들어 환자에게 다시 이식하는 시험에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4] 플라즈마 실험을 시작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2015.11.16
- 상용화 기술 확보를 위해 핵융합 플라즈마 실험을 한창 진행하고 있습니다. 핵융합 플라즈마 실험은 매년 6개월에 걸쳐 진행됩니다. 이중 첫 두달은 KSTAR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진행됩니다.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플라즈마 발생 및 운전 실험단계이지만, 두 달간의 장치 ... ...
-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IBS l2015.11.16
- 입자 중 하나인 중성미자는 우주에서 빛 입자인 광자 다음으로 많다. 태양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 때 나오는 중성미자는 매초 700억 개가 엄지손톱만 한 면적을 지나가고 있지만, 우리는 전혀 느낄 수 없다. 중성미자는 태양이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빛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초신성이 폭발할 때 중요한 ... ...
- “깨끗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그림 4. 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을 설명중인 김경련 박사 환경기술에는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다보니 연관기술들도 많을텐데요, 이번 연구 외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연구는 무엇이었나요? 사실 우리나라가 해양퇴적물을 과학적으로 정화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현재처럼 체계적인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