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융합"(으)로 총 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화학, 반도체, 재료, 기계공학처럼 자연대와 공대의 거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간 융합학문이다. 올해 한국진공학회가 20회 IVC를 유치하게 됐고, 현택환 단장은 8월 부산에서 열리는 IVC 현장에서 IUVSTA 기술상을 받게 된다. 현 단장은 지난 4년간 IBS에서 이룩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기조강연도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넘치며 영어만 사용하는 환경이 우수한 외국연구자를 유치하기 좋다고 한다. 이는 융합연구단인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에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바르토즈 지보브스키(Bartosz Grzybowski), 츠비 틀루스티(Tsvi Tlusty)처럼 여러 분야를 전공한 외국인이 그룹리더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박 ...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2016.04.25
- 그런데 세포핵이 한 개이거나 백 개이거나 담고 있는 게놈정보는 똑 같은데 왜 세포가 융합할 때 여분의 세포핵이 사라지지 않을까. 세포핵의 용량 때문이라는 게 이에 대한 유력한 설명이다. 즉 게놈 한 벌(2n)에서 유전자가 발현해 만들어낼 수 있는 단백질이 감당할 수 있는 세포질의 부피에는 ...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2016.02.26
- 소들이 원할 때 스스로 액세스(RFID 목걸이로 인식)해서 우유를 섭취할 수 있게 됐다. ICT를 융합해 각 관리 항목을 감지해 관리자의 명령 없이도 자동적으로 관리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이곳 실험목장의 궁극적인 목표다. 김회웅 수의사는 “이렇게 ICT가 도입되면 농장주도 편해지지만 기본적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별의 일생을 연구한 결과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들은 완전히 연소된 후, 즉 핵융합 반응이 끝난 뒤 중력붕괴를 일으켜 이런 천체가 됨을 보였지만 아인슈타인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었다. 아인슈타인이 사망하고 12년이 지난 1967년에야 이론물리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가 이 천체에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있다. 만성골수백혈병의 경우에는 ‘bcr-abl 융합유전자’가 바이오 마커 역할을 한다. 이 융합유전자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느냐의 여부로 백혈병을 진단하게 된다. 심근경색도 트로포닌이라는 바이오 마커를 이용해 진단할 수 있다.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발생 후 ‘골든타임(사고 발생 ... ...
- KIOST 부산 이전은 새로운 재도약의 호기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가장 큰 장점입니다. KIOST는 아시다시피 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수학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해양의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는 씽크 탱크입니다.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도시 인프라의 안전 대책, △ 해안 침식 방지, △ 오염 해역 복원, △ 해안도시의 하수, 폐기물 처리기술, △ 지속 ...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생각에 쇼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술이라도 한잔 했을 때는 밤의 감성과 알코올의 융합이 만든 상승작용으로 보통 인내로는 지름신의 폭주를 막기 어렵다. 마케팅 담당자는 이 시간에 활동해야 한다. 쇼핑몰에서 밤 시간에 할인쿠폰을 발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소비자의 기호 vs. 전복적인 ... ...
- 산∙학∙연∙관 R&D 인력 통합 교육체계 완성을 향해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대상까지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는 각 연구 전문분야가 서로 융합할 수 있도록 기술 분야의 전문 교육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교육 방법으로는 내년 1월 개발 완료 예정인 '모바일 러닝'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필요한 교육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한다. ...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된다. 연구단이 위치할 건물은 2016년 5월 말 완공될 예정이다. "물질과 생명을 매개하는 융합연구로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는 천 단장의 포부처럼 한국이 나노 선진국으로 발돋움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