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d라이브러리
"
손가락
"(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폐로 들어가면 흡인성 폐렴에 걸린다. 이는 치사율이 높은 병이다. 정상인의 경우
손가락
을 입안에 넣으면 구역질이 나는데, 이는 구역질반사(gag reflex)로 약물이나 정신적인 자극 또는 혀 뒤편을 자극할 경우 인두 근육이 수축하면서 일어난다.9번 뇌신경(설인신경)이 손상될 경우 구역질반사가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상태 농이 많을 때에는 이질 · 방광장애 ·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진단은 항문으로
손가락
을 넣어 직장을 만져 보거나, 질을 통한 느낌에 의하며 특히 직장 쪽으로 팽출된 것에 의해 알 수 있다다른 부분의 농양에 비해 흡수되는 경향이 적으므로 항문이나 질을 통해 절개하여 직장 또는 질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악어새’라고 생각하면 두려움은 사라지고 웃음이 난다. 사실 악어의 입장에서
손가락
(앞발가락)은 물론이고 두꺼운 혀를 놀려 이빨 사이에 낀 고기 찌꺼기를 없애기는 어려운 일. 포식을 한 뒤 개운치 못한 기분으로 입을 벌리고 있을 때 어디선가 날아든 악어새가 잇몸에 낀 고깃점을 쪼아 먹으면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나무로 만든 소프라노 색소폰에 가깝다. 타로가토는 색소폰 운지법(악기를 연주할 때
손가락
을 쓰는 방법)과 헝가리 전통 운지법으로 각각 연주할 수 있는 2종류를 갖고 있다. 집에서는 소리가 너무 큰 색소폰보다 소리가 작고 부드러운 알토 클라리넷을 즐겨 분다.학교에는 방음이 잘 되는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2006년 뇌 피질의 운동영역에 ‘브레인 게이트’라는 칩을 이식했다. 그 결과 맥기 씨는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고 컴퓨터 화면의 포인터를 움직였다. 그의 생각에 따라 뇌의 뉴런이 활성화되고 이 신호가 컴퓨터로 옮겨져 움직임을 이끌어낸 것이다. 신 교수는 “BCI 기술이 발전하면 기억을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뜨기 전 동쪽 하늘에 고도 10°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검지와 새끼
손가락
사이 높이)로 낮게 뜨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다. 이날 금성은 수성 바로 밑 약 2° 떨어진 거리에 있다.● 화성과 토성에 다가가는 달봄기운이 완연한 3월 밤하늘에 달이 화성과 토성을 차례로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구린내를 맡으면 코를 두
손가락
으로 감싸쥐지만 아름다운 여성이 뿌린 향수에는 절로 미소가 감돈다. 그러나 극과 극인 두 향기가 분자수준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돼지우리 구린내의 주성분인 이소부탄산 분자에 탄소원자(C)를 한 개 붙이면 이소발레르산 분자가 된다. 이는 발 냄새의 주성분이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때문이다. 리촐라티 박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숙련된 기타 연주자가 연주할 때
손가락
의 움직임을 관찰하게 했다. 그러자 전두엽과 두정엽에 있는 뉴런이 활성화됐다. 그 뒤 같은 동작을 해보게 하자 동일한 부위의 뉴런이 강하게 반응했다.최근에는 사람이나 원숭이뿐 아니라 새도 거울뉴런으로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음성 정보만을 보낼 수 있는 정도다.하지만 그는 손목시계 같은 소형 통신기를 이용해
손가락
을 접촉하는 순간 데이터 통신이 이뤄지는 일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인체통신기술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12:00 악수와 터치로 이뤄지는 계약“처음 뵙겠습니다. 김철수입니다.”바이어와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DNA의 구조를 밝혀내고자 노력한 로잘린드 프랭클린이 그 주인공들이다.도로시 호지킨은
손가락
관절염이 심해 손이 비틀렸지만 그 고통을 이겨내고 “나는 손으로 과학을 한다”고 말하며 복잡한 X선 실험을 정교하게 해냈다. 결국 당시 가장 복잡한 분자구조를 가졌다고 알려진 비타민 B12의 구조를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