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d라이브러리
"
손가락
"(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진단 방법을 마련하겠다는 ‘이제마 프로젝트’의 야심작이다.마치 한의사가 세
손가락
으로 촌(寸), 관(關), 척(尺) 세 자리를 진맥하는 것처럼 ‘로봇 한의사’는 손목 주변을 움직이며 정확히 맥을 짚었다. 현재 28가지 맥 중 10가지를 짚는 수준이다.최근에는 한국전기연구원과 함께 팔찌형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연기에서 나는 냄새가 나요.” (청각의 후각화)“망치질을 하다가 잘못해서 엄지
손가락
을 쳤을 때 느껴지는 통증은 짙은 보라색이고 구석이 둥근 삼각형의 모양으로 보여요.” (촉각의 시각화)공감각은 한 가지 감각 양태 안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 글의 도입부에서 소개했던 피험자의 경우,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눈이 어지러울 정도로 한껏 기교를 부린 흔적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번에 엄지
손가락
을 치켜들 만하다. 지구 상공 약 350km에서 내려다본 지구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기에. 알래스카에서 히말라야까지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지구 곳곳의 모습을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해 터치를 인식하는 반면(정전기 방식), LG나 삼성의 터치폰은
손가락
으로 누르는 압력(대략 8g)을 감지한다(정전압 방식).정전압 방식은 압력의 미세한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주머니에 넣었을 경우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경우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정전압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빛의 혁명’이 시작됐다. 거리의 가로등부터 슈퍼마켓 냉동고와 백화점 매장의 조명등까지 램프가 변신 중이다. 지난 4월 6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 바꿀 필요 없이 LED 조명으로 매장을 손쉽게 ‘페인트칠’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것도
손가락
의 ‘터치’ 한 번 만으로 ... ...
PART1. 공부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생각하는 모든 과정을 말해. 그러니까 공부할 때 가장 고생하는 건 글씨 쓰기 바쁜
손가락
이나 의자에 계속 붙어 있는 엉덩이가 아니라 바로 우리 머릿속에 있는 뇌였다구 ...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괴고 있는 자세는 다른 그림이나 조각에서 생각하는 주인공이 턱을 엄지
손가락
과 나머지
손가락
들 사이에 대고 있는 자세와 상당히 다르다. 또 복부근육에 힘을 줘 복벽(복강의 앞쪽 벽)이 뒤로 당겨지고, 호흡과 관계되는 대원근(겨드랑이 근육)이나 광배근(활배근, 등의 아래쪽과 위팔뼈 위쪽을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푹 잤다. 잘 다녀오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주로 향할 마음의 준비가 끝났다는 듯 엄지
손가락
을 추켜올렸다.이날 오후 5시(바이코누르 현지 시각 오후 2시) 발사대 부근의 에네르기아사 건물 앞은 이번 발사를 응원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 온 500여 명의 관람객들로 북적였다. 최초 여성우주인 ... ...
민영 의료보험의 무서운 진실 식코 sicko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상당 부분 여기에 있다.그나마 수술비도 건강보험심사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지급된다.
손가락
접합 수술의 성공률은 약 80%다. 의사도 신이 아닌 이상 100% 수술 성공을 기대하긴 어렵다. 하지만 일부 평가자는 수술이 실패하면 수술비를 아예 지급하지 않거나 삭감한다. 마이클 무어가 모르는(?)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2006년 뇌 피질의 운동영역에 ‘브레인 게이트’라는 칩을 이식했다. 그 결과 맥기 씨는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고 컴퓨터 화면의 포인터를 움직였다. 그의 생각에 따라 뇌의 뉴런이 활성화되고 이 신호가 컴퓨터로 옮겨져 움직임을 이끌어낸 것이다. 신 교수는 “BCI 기술이 발전하면 기억을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