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협력 구애해밀턴의 부등식이 성립해 혈연 사이에 이타적 행동이 선택된 사례를 하나 살펴보자. 야생 칠면조 사이에서는 나이가 같은 두 수컷이 함께 팀을 이뤄 암컷을 유혹한다. 짝짓기가 끝난 후에도 두 수컷이 서로 힘을 모아서 교미한 암컷을 다른 경쟁 수컷들로부터 지켜낸다. 그런데 아주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둘 다 맞을까?해결책 : 동전 문제로 생각하기질문 ➋와 똑같은 동전 문제로 상황을 분석해보자.‘동전이 앞면이 나오는 상황’을 ‘자녀가 딸인 상황’과 같다고 보면 이 동전 문제는 질문➋와 똑같다. 물론 질문 ➋에서 가정한 두 가지 사항도 동전 문제에 똑같이 적용된다. 둘째 아이의 성별이 첫째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빨간 은하에 아기 별이 드문 이유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 구체적인 가설 몇가지를 살펴보자. 먼저 은하 중심부에 초거대 블랙홀이 있어 별 생성을 막았다는 가설이 있다. 이를 ‘초거대 블랙홀 반응’이라고 부른다. 빨간 은하는 파란 은하보다 일반적으로 더 무겁고 더 밝다. 빨간 은하가 파란 ... ...
- PART 2. 올림픽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다.손연재 선수의 연기 속에서 수학을 찾으며 응원해보자.그러면 새로운 재미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리우 올림픽 즐기는 세 가지 방법PART 1. 누가 누가 잘할까? 미리 알아보는 올림픽 순위PART 2. 올림픽 속 수학 찾기!PART 3. 선수들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여기저기에 민들레가 가득 피어 벌써 봄이라는 걸 느낄 수 있었지요. 그런데 민들레를 보자 오로라의 얼굴이 딱 떠오르지 뭐예요.“오로라는 날 어떻게 생각할까?”오로라를 생각하며 민들레 한 송이를 꺾는 순간, 누군가가 팔로 시원이의 목을 감싼 뒤 어딘가로 끌고가기 시작했어요.“으악~! 누…,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끌려간다. 어떤 행성이냐고? 이제부터 하는 이야기에서 실마리를 얻어서 알아맞혀 보자.감옥에 갇힌 클리퍼드는 탈출할 계획을 세운다. 그런데 탈출해도 지구까지 가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 알아야 했다. 감옥에 갇힌 상황에서 방법이라고는 주워들은 정보로 계산해 보는 것뿐. 클리퍼드가 들은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추측만 할 뿐이다.두 조상을 토대로 이들이 어떻게 한 집에서 살게 됐는지도 추론해보자(Science 351, 659 (2016)). 진핵세포의 조상은 욕심쟁이였을 것이다. 세포막을 조심스레 여닫으며 주변에 풍부한 영양소를 흡수하는 대신, 세포막을 활짝 열어 아예 크게 한 움큼 베어 먹는 방법(세포내흡수)을 선택한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다.페르마가 이걸 했단 말이야?풀이과정을 다시 살펴보자. 현대적인 수학기법들이 대거 동원됐다. 굵직굵직한 것만 나열해도 모듈형태, 다니야마-시무라의 추론, 갈루아의 군,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등이다. 와일즈 교수와 수학자들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공식’의 핵심을 직관적인 그림 모델로 이해해 보자.122쪽의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먼저 사회적 행동이 아닌 형질을 만드는 유전자다(그림1). 예를 들어, 잘 익은 과일처럼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달다고 느끼게 하는 유전자는 개체의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된다. 이처럼 개체의 번식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리는 문자나 소리, 몸짓으로 된 언어로 의사소통을 한다. 파충류는 어떨까. 이들도 의사소통을 한다. 우리처럼 언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대신 ... 모른다. 티라노사우루스가 팔뚝에 난 깃털을 이용해 부채춤을 추는 장면을 상상해보자. 참으로 기괴하면서도 아름다운 광경이었을 것이다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