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동축반전식을 선택했다. 만약 비행체 중앙에 딱 하나의 프로펠러가 있다고 상상해
보자
. 이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돌면 그에 반작용으로 반시계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동축반전식은 위, 아래의 프로펠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며 이 힘을 상쇄시켜 비행체의 안정성을 높인다.마스2020 드론을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기듯이 예측 불가능한 일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연구에 이용된 한 연구를
보자
. 실험참가자들에게 지극히 평범한 사진들을 보여줬다. 그런데 실험 중간에 갑자기 무서운 사진이 툭 튀어나온다. 사진은 무작위로 나오기 때문에 연구팀조차도 다음에 어떤 사진이 나올지 알 수 없다.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등 실질적인 배려가 밑바탕이 돼야 한다고도 말했다. 힉스 입자 이야기를 좀 더 해
보자
. 힉스 입자를 예측한 두 명의 물리학자가 노벨 물리학상을 탔는데, 입자를 직접 발견한 CERN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과학동아에서 콘돔의 신축성에 대해 읽은 한 어린이 독자가 엄마에게 콘돔에 물을 담아
보자
고 졸랐다는 일화도 떠올랐다. 다트넬 교수의 얼굴에서 호기심 많은 소년이 겹쳐 보이는 듯했다.그는 본업인 우주생물학 연구를 이어가면서 다음 책도 준비중이다. “과학과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 ...
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왔다~!”퇴근하신 아빠를
보자
반가운 마음에 현관으로 뛰어나가 볼에 뽀뽀를 해 드렸어. 그런데 이게 무슨 냄새지? 설마 담배 냄새? 나도 모르게 인상을 찡그렸어. 아빠는 집에 오기 전에 손도 닦고 양치도 했는데 어떻게 알았냐며 당황하시네.“아빠! 담배는 피우는 사람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협력관계를 강조했다. 이들의 협력이 가져올 미래의 모습은 어떨까. 2파트에서 확인해
보자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어떻게 실현할지 궁금했다면 저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자
. 최근 국내에서 젠더가 평등한 작품을 발굴하자는 목소리가 커졌다. 여러 소설과 웹툰, 영화가 목록에 올랐다. 이들 작품에서 생각지 못했던 지점을 만나면 내밀한 기쁨에 미소가 번진다. 미국 SF소설의 거장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음계를 만들기는 어렵다.막대가 없으면 물을 조금 묻혀 유리컵 가장자리를 문질러
보자
. 마찬가지로 컵이 떨리면서 소리가 난다.추가 실험. 자로도 실로폰을 만들 수 있다?!실로폰은 막대로 네모난 건반을 내리쳐서 음을 만드는 악기다. 건반의 길이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하며 높은 소리가 난다.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2009년 7월, 테렌스 타오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문제를 함께 풀어
보자
고 제안했다. 미해결 문제가 아닌 문제도 온라인상에서 함께 푸는 것이 가능한지 시험해 본 것이다.첫 번째는 문제는 2009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6번 문제로, 그해 시험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였다. 하지만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관측한다. 이런 빛은 모두 과거에서 온다. 이 말이 이상하게 느껴진다면 잘 생각해
보자
. 빛은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이나 돌 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 속도가 있다고 느끼기는 어렵다. 하지만 드넓은 우주에서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예를 들어 태양빛이 지구에 도달하려면 8분 정도 걸린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