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생각하세요?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속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는 게 당연하지요. 어디 보자…. 옳지. 제가 뽑은 이 사연에 대한 답이 첫 번째 사연을 주신 청취자께도 도움이 될 것 같군요! 새 친구가 믿음직스러운 행동을 많이 보여줬기 때문에 그 아이에 대한 안 좋은 소문이 무척 당황스러울 거예요.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다리 건너기 문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육지와 육지를 잇는 7개의 다리가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다음 질문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오랫동안 해결되지 않던 이 문제는 오일러가 위상동형을 이용해 해결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다리와 강을 기준으로 A, B, C, D 4개의 지역이 있다. 오일러는 각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어떻게 실현할지 궁금했다면 저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자. 최근 국내에서 젠더가 평등한 작품을 발굴하자는 목소리가 커졌다. 여러 소설과 웹툰, 영화가 목록에 올랐다. 이들 작품에서 생각지 못했던 지점을 만나면 내밀한 기쁨에 미소가 번진다. 미국 SF소설의 거장 ... ...
- 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왔다~!”퇴근하신 아빠를 보자 반가운 마음에 현관으로 뛰어나가 볼에 뽀뽀를 해 드렸어. 그런데 이게 무슨 냄새지? 설마 담배 냄새? 나도 모르게 인상을 찡그렸어. 아빠는 집에 오기 전에 손도 닦고 양치도 했는데 어떻게 알았냐며 당황하시네.“아빠! 담배는 피우는 사람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코딩 교육을 하며 1인 1로봇 시대를 내다보는 ‘서큘러스’를 만나보자!“코딩에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는 당연히 필요하지요. 하지만 언어는 도구일 뿐이에요. 도구가 목적이 되는 순간 의미가 사라져요. 무엇을 만들지, 내가 어떤 기능을 구현하고 싶은 건지 생각해야 그에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동축반전식을 선택했다. 만약 비행체 중앙에 딱 하나의 프로펠러가 있다고 상상해 보자. 이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돌면 그에 반작용으로 반시계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동축반전식은 위, 아래의 프로펠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며 이 힘을 상쇄시켜 비행체의 안정성을 높인다.마스2020 드론을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뛰어들게 해서 아이를 한 명 구하게 하는 희소한 유전자를 당신이 갖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물에 열 번 빠지면 한 번 꼴로 목숨을 잃는다고 가정한다. (…) 만약 그 아이가 당신의 자식이거나 형제자매라면, 아이도 그 유전자를 지닐 가능성은 반반이다. 따라서 어른이 한 명 죽을 때 아이를 통해 그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함께 연구하는 사람이 훨씬 많다고. 보통 수학자들은 어떻게 연구하는지 살짝 엿보자.해변에서 노는 것 아니에요! 지금은 연구 중KAIST 수리과학과 엄상일 교수어떤 학회는 초청 강연자도 없고, 발표 주제도 정해져 있지 않아요. 엄선된 전문가 20~30명이 모여 일주일 내내 문제만 풀어요. 2014년 5월,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던 학생들은 이제 직접 수업시간을 이끌고 있다. 모둠별 프로젝트의 힘을 엿보자.모둠끼리 UCC 만들기방학 숙제로 실생활에서 쓰는 수학을 주제로 UCC를 만들었다. 교내 시상식도 열어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했다. 운동장에 막대기로 수학 문제를 적고 푸는 모습을 연극의 일부로 연출한 작품도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장이라고 가정하고,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에 있는 세포로 전기신호를 보낸다고 생각해보자. 신문지가 펼쳐져 있다면 긴 거리를 거쳐야 하지만, 만약 신문지가 U자 모양으로 말려 있다면 훨씬 빨리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람의 뇌에 주름이 발달하면서 뇌세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고,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