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3분의 1은 수정체에서 굴절된다. 수정체는 사물의 원근에 따라 주변 근육을 움직이며
두께
를 조절해 초점을 맞춘다. 이 굴절력에 이상이 생기면 근시나 원시, 난시가 생기며 시력이 나빠진다.근시의 대부분은 몸이 성장하며 안구의 길이도 함께 길어질 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근시를 ... ...
대한민국 안전을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만든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한다.인증표준물질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5cm이고
두께
가 19mm인 알루미늄합금 조각이다. 조각 가운데에는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폭으로 500㎛ 깊이의 홈(인공균열)이 파여 있다. 비파괴 검사장비는 이 인증표준물질의 인공균열을 측정한 값이 홈의 폭은 10μm, ... ...
광자유체집적소자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빛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는 말이다.광결정으로 된 광학소자는 막 사이 공기층
두께
가 고정돼 한 종류 빛만 반사하지만 액체를 사용하면 소자 막의 광결정을 바꾸지 않고도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염화칼슘(CaCl2)을 섞어 막 사이로 흘리면 굴절률이 바뀌어 빛이 보강간섭 되는 ... ...
전기 통하는 초강력 종이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라펜(graphene)은 여러 개의 탄소층으로 된 흑연에서 한 장의 탄소층만 분리한 것이다.
두께
는 20만개가 모여야 머리카락 한가닥 정도 될 만큼 매우 얇지만 강도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크다. 그러나 뭉치거나 말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루오프 교수팀은 그라펜을 산화시켜 탄소와 산소가 육각형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양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방향에 있는 이웃 은하단에서 나오는 막대한 양의 방사선에 많이 노출된다”며 “900m
두께
의 바위를 뚫을 만큼 강력한 뮤온입자로 이뤄진 방사선이 생물체 속의 DNA에 손상을 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을 회전목마처럼 위아래로 진동하며 돈다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때 만든 대리석 천문도(天文圖) 를 복각(複刻)한 각석 보물 제837호 세로 2065cm, 가로 1085cm,
두께
30cm 조선 태조 4년(1395)에 만든 석초천문도(石鐎天文圖)가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마멸되자 숙종 13년(1687)에 복각한 것이다 복강 내의 장기를 직접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내시경 검사법 1901년 독일 의사 G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근처에서 관측되는 중성자별에 산다. 중성자별은 중력이 너무 강해 대기가 겨우 수mm
두께
이고 산의 높이는 대략 1cm다. 칠라는 강한 중력의 세계에 적응해 납작하고 참깨씨만 하게 작지만 인간처럼 지적인 생명체다.칠라는 강력한 중력 때문에 표면에서 수mm밖에 몸을 들어올릴 수 없고 건물은 아주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원자 수준에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한다(03). 실리콘에 유기물질을 결합하면 반도체의
두께
를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는 경험적인 방법으로 유기물질의 양을 조절했다. 연구팀은 STM을 이용해 실리콘에 결합한 유기물질의 구조와 위치를 명확히 파악했다. 이로부터 반도체 공정의 생산단가를 크게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달 사이(38만km)를 약 50번 왕복할 수 있는 길이다.3. KSTAR가 들어선 실험동 건물의 벽면
두께
는 1.5m. 이런 특수 실험동을 짓는데 들어간 총 시멘트 양은 5만1263m3. 이 정도 양이면 아파트 1000세대를 지을 수 있다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계열의 인공토양은 물을 최대한 머금었을 때의 무게가 단위부피당 450~600kg이므로 토양의
두께
를 10cm라고 가정하면 단위면적당 45~60kg 밖에 안 나갈 정도로 가볍다”고 설명했다. 옥상에서 물이 새는 것을 막고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방근처리를 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일반적인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