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40억년 된 다이아몬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금까지의 추측을 뒤집으며 지구 초기 모습을 새로 제시했다. 다이아몬드는 수십km
두께
의 지각 아래에서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야 생성되기 때문에 40억년 전에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졌다면 당시에 이미 지금처럼 차갑게 식은 두꺼운 지각이 있었다는 의미다.연구팀은 다이아몬드의 나이를 ... ...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표면에서 200km 떨어진 궤도를 돌면서 달 표면의 3차원 영상을 찍고 달 표면의 온도와 지각
두께
를 측정하며 지구와 달 사이의 우주환경을 조사한다.내년에는 인도와 미국이 달 탐사에 나선다. 인도는 4월에 525kg의 찬드라얀 1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찬드라얀 1호는 달 상공 100km 궤도에서 2년간 돌면서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세계적인 전자측정기기 회사인 미국 자이고(ZYGO)에 백색광을 이용해 얇은 투명 박막의
두께
를 재는 기술을 이전해 해마다 매출액의 2.5%를 기술료로 지급받고 있다.“앞으로의 계획이요? ${10}^{-12}$ 이상의 불확도에 도전하는 연구를 새로 시작했습니다. 측정대상은 바로 우주입니다.”수백km에 이르는 ... ...
전기 통하는 초강력 종이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라펜(graphene)은 여러 개의 탄소층으로 된 흑연에서 한 장의 탄소층만 분리한 것이다.
두께
는 20만개가 모여야 머리카락 한가닥 정도 될 만큼 매우 얇지만 강도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크다. 그러나 뭉치거나 말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루오프 교수팀은 그라펜을 산화시켜 탄소와 산소가 육각형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양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방향에 있는 이웃 은하단에서 나오는 막대한 양의 방사선에 많이 노출된다”며 “900m
두께
의 바위를 뚫을 만큼 강력한 뮤온입자로 이뤄진 방사선이 생물체 속의 DNA에 손상을 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을 회전목마처럼 위아래로 진동하며 돈다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근처에서 관측되는 중성자별에 산다. 중성자별은 중력이 너무 강해 대기가 겨우 수mm
두께
이고 산의 높이는 대략 1cm다. 칠라는 강한 중력의 세계에 적응해 납작하고 참깨씨만 하게 작지만 인간처럼 지적인 생명체다.칠라는 강력한 중력 때문에 표면에서 수mm밖에 몸을 들어올릴 수 없고 건물은 아주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원자 수준에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한다(03). 실리콘에 유기물질을 결합하면 반도체의
두께
를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는 경험적인 방법으로 유기물질의 양을 조절했다. 연구팀은 STM을 이용해 실리콘에 결합한 유기물질의 구조와 위치를 명확히 파악했다. 이로부터 반도체 공정의 생산단가를 크게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때 만든 대리석 천문도(天文圖) 를 복각(複刻)한 각석 보물 제837호 세로 2065cm, 가로 1085cm,
두께
30cm 조선 태조 4년(1395)에 만든 석초천문도(石鐎天文圖)가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마멸되자 숙종 13년(1687)에 복각한 것이다 복강 내의 장기를 직접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내시경 검사법 1901년 독일 의사 G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성공했다. 그 전까지 가장 얇은 강유전체 박막은
두께
가 고작 수십nm였다. 박막의
두께
가 얇을수록 메모리 소자도 작게 만들 수 있어 집적도가 높아진다.두 얼굴의 ‘다강체’ 만들기연구단이 최근 주목하고 있는 과제는 ‘다강체’다. 다강체란 양극과 음극으로 갈라진 상태를 유지하는 강유전체의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가령 나이키 로고를 그릴 때 손가락 끝에 힘을 얼마나 주느냐에 따라 시작과 끝의
두께
를 조절할 수 있는 이유는 이 기술 때문이다.두 번째는 ‘하프핑거 터치 앤 하프팜 리젝션’(Half Finger Touch & Half Palm Rejection) 기술이다. 이 덕분에 액정에 닿는 물체가 일정 면적을 넘어서면 인식하지 못하도록 해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