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타르의 조성과 성상은 원료마다 다르다지구 표면을 약 10개 부분(이것을 판이라 하는데,
두께
는 약 수십 km)으로 나누어, 각각의 판이 고유한 방향으로 1년에 수cm의 속도로 수평이동을 한다고 봄으로써 지진이나 화산 활동 등의 지질현상을 이들 판과 판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이론빙식곡(氷食谷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한다. ‘삶의 질’이 저하되는 셈이다. 표준연 생체신호계측연구단이 한국형 내중막
두께
표준을 만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돌연사 걱정에서 벗어날 날을 기대해본다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놓고 보면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꽤 다르다. 같은 용량일 경우 생수병이 더 가볍다. 즉
두께
가 더 얇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밑 부분이다. 생수병은 편평한데 비해 콜라병은 굴곡이 있다. 자세히 보면 밑이 반구처럼 볼록한 병을 세우기 위해 둘레로 대여섯 개의 지지대, 즉 발이 있는 형태다. 톡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세계적인 전자측정기기 회사인 미국 자이고(ZYGO)에 백색광을 이용해 얇은 투명 박막의
두께
를 재는 기술을 이전해 해마다 매출액의 2.5%를 기술료로 지급받고 있다.“앞으로의 계획이요? ${10}^{-12}$ 이상의 불확도에 도전하는 연구를 새로 시작했습니다. 측정대상은 바로 우주입니다.”수백km에 이르는 ... ...
대한민국 안전을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만든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한다.인증표준물질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5cm이고
두께
가 19mm인 알루미늄합금 조각이다. 조각 가운데에는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폭으로 500㎛ 깊이의 홈(인공균열)이 파여 있다. 비파괴 검사장비는 이 인증표준물질의 인공균열을 측정한 값이 홈의 폭은 10μm, ... ...
광자유체집적소자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빛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는 말이다.광결정으로 된 광학소자는 막 사이 공기층
두께
가 고정돼 한 종류 빛만 반사하지만 액체를 사용하면 소자 막의 광결정을 바꾸지 않고도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염화칼슘(CaCl2)을 섞어 막 사이로 흘리면 굴절률이 바뀌어 빛이 보강간섭 되는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하전입자가 자기장 속에서 하는 원운동의 반지름)은 가스운이나 은하 가스 원반의
두께
에 비해 작기 때문에 성간 가스와 자기장은 서로 가둔 상태에 있다생물의 성을 결정하는 물질 성염색체 또는 성유전자를 받은 개체가 어느 한 쪽의 성으로 분화가 일어나는 것은 어떤 물질이 존재하기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외에도 지질학자들이 지큐호에 바라는 점이 많다. 최대 7km까지 시추가 가능한 지큐호는
두께
가 6km 정도인 해양지각을 뚫고 맨틀에 도달할 수 있다. 인류에게 미지의 영역이었던 맨틀이 열리는 것이다. 지질학자들은 맨틀을 탐사하면 ‘플룸구조론’처럼 가설로 남아있는 많은 이론들이 증명될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3분의 1은 수정체에서 굴절된다. 수정체는 사물의 원근에 따라 주변 근육을 움직이며
두께
를 조절해 초점을 맞춘다. 이 굴절력에 이상이 생기면 근시나 원시, 난시가 생기며 시력이 나빠진다.근시의 대부분은 몸이 성장하며 안구의 길이도 함께 길어질 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근시를 ... ...
40억년 된 다이아몬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금까지의 추측을 뒤집으며 지구 초기 모습을 새로 제시했다. 다이아몬드는 수십km
두께
의 지각 아래에서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야 생성되기 때문에 40억년 전에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졌다면 당시에 이미 지금처럼 차갑게 식은 두꺼운 지각이 있었다는 의미다.연구팀은 다이아몬드의 나이를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