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함께 조사해 외국인도 조사대상에 포함시켰다. 또한 국민의 10%를 표본집단으로 선정해 31
개
의 세부 항목을 추가로 조사하기도 했다. 출생지나 5년 전 거주지, 거주기간처럼 구체적인 특성을 알기 위해 일부 국민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 통계들 우리나라의 인구 관련 ... ...
기억 속에 남는 아름다운 수학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임의의 점 C를 잡는다. 그리고 A, C를 지나도록 원을 그린다. 그러면 이 원과 l의 교점이 2
개
생긴다. 두 교점에서 A가 아닌 점을 D라고 하자. 이때 원이 직선 l과 접해 교점이 하나 생긴다면 다른 점을 C로 잡자.A와 D를 지나는 원을 그리고 이 원과 원①의 두 교점에서 A가 아닌 교점을 E라고 하자. C와 E를 ... ...
벌은 컴퓨터보다 똑똑하게 이동경로 찾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4
개
의 꽃다발로 벌의 이동경로를 관찰했습니다. 먼저 한 다발을 놓은 다음, 한다발씩 총 3
개
의 꽃다발을 추가하면서 이 순서를 따를 경우 벌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도록 만들었습니다.벌의 이동 경로를 분석한 결과 처음에는 순차적으로 이동하거나 여러 경로로 이동했지만 꽃다발 사이를 이동하는 ... ...
초대받지 못한 손님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공효지 : 엄태운 씨! 우리 중에 범인이 있다니요? 말씀 삼가시죠. 저는 초대장을 두
개
나 받았다고요. 그러시는 엄태운 씨는 초대장을 몇 장 받으셨지요?엄태운 : 저는 한 장만 받았습니다만….공효지 : 그게 더 의심스러운 거라고요. 우리 중 대부분은 초대장을 두 장, 김명만 선 배님은 세 장이나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몸에 맞는 음식이나 약물을 취해 건강해질 수 있다”며 “한의학의 체질과 현대과학의
개
인게놈은 서로 만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20여 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 김 소장은 “미국이나 유럽은 각국의 전통의학이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면 적극 도입하고 있다”며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외부에 스스로 돌아가는 장치의 탑재는 금지한다’라는 항목이 추가됐다. 장치의
개
발이 도리어 장애가 된 경우다. 지금도 공기역학적인 장치는 F1 머신에서 가장 다양한 변신을 거듭하며 발전하고 있다.올해 F1 코리아 그랑프리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경기를 치렀다. 세계에서 5번째로 긴 5.615km의 ... ...
과학동아가 선물 300
개
를 쏩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과학동아가 선물 300
개
를 쏩니다! ...
우주의 비밀을 풀어 줄 반물질 실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들어가면 약한 자기력을 띤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서로 다른 자기장을 지니는 전자석 8
개
를 팔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뒤 그 속에서 반입자를 충돌시켜 반물질 수소가 발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자기장이 균형을 이루는 한가운데서 반물질 수소 원자가 탄생해 0.17초 이상 존재하다 사라졌다. 기존의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국내 연구진이 배추의 염색체를 해독하는데 성공했다. 배추는 브로콜리, 양배추 등과 함께 추과에 속하는 작물로, 앞으로 다양한 작물을 연구하 ... 항암 배추와 같은 기능성 작물을 만들 때 유용하다. 문 박사는 “다양한 맞춤형 배추 품종을
개
발할 수 있는 지도를 얻은 셈”이라고 말했다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에나멜에 칼슘이 쌓이면서(석회화) 생긴다. 치아 표면에 연속적으로 나열된 생장선의
개
수를 세고 그 사이의 너비를 재면 치아가 자란 속도와 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영구치에는 출생 때의 생장선이 남아 있어 몇 살에 죽었는지도 알 수 있다.그 결과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보다 이른 ... ...
이전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