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해부학"(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효과가 있는 건 신경생성을 촉진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스페인의 저명한 신경해부학자로 1906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이 직접 그린 설치류 해마의 신경회로다. 라몬 이 카할은 이처럼 정교한 구조가 유지되려면 성체 신경생성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고 믿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정말 대단하기는 하다. 그럼에도 뇌의 극히 일부분을 그것도 이미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 해부학적 구조만 본 것이라는 한계는 있다. 만일 아인슈타인이 지금 살아있다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같은 장비로 뇌의 활동 양상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고 그 결과는 뇌과학에 또 다른 영감을 주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2017.04.26
- 게이/레즈비언, 바이섹슈얼의 크게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뉘어 이야기 된다. 성적지향은 해부학적, 유전적 특성과 관련되는 생물학적 성(biological sex)과 심리적으로 자신이 남성이라거나 여성이라는 느낌을 갖는 성정체성(gender identity), 또 문화권에 따라 여자는 어때야 하고 또 남자는 어때야 한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2017.03.07
- 연결하는 조직이다. 의학서적에 아킬레스건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건 네덜란드의 해부학자 필립 베헤옌의 1693년 저서 ‘인체 해부학(Corporis Humani Anatomia)’이다. 인류의 이족보행은 잘 발달된 아킬레스건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걷고 달리고 뛰어오르는 게 모두 강력한 아킬레스건이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상당한 전문성이 필요해 대학원에 진학했고 윤 대표는 해부학 박사 학위를, 김 작가는 해부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국내 대형병원이나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민간기업의 바이오·의학 연구자들에게서 주로 그림을 의뢰받는다. 의학그림은 과학그림과 달리 ‘등장인물’이 크게 바뀌지는 않는다.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것이다(다른 꽃들은 그렇지 않다). 이 꽃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특별할 뿐 아니라 해부학적으로도 예외적인 존재다!(This flower is not only special because it’s beautiful, also it’s anatomy is exceptional!)”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2016.04.25
- 이를 데 없어 의대를 안 가기를 정말 잘 했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리고 의학에서 해부학이나 병리학의 기초는 더 연구할 게 없고 이제 의학의 과제는 새로운 약물이나 수술 같은 치료법을 개발하는 일뿐이라고 느껴진다. 그런데 지난해 제2 순환계라는 림프계가 뇌에서도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 ...
- 봉한선과 림프선2015.08.03
-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부터가 추측인지 헷갈린다”고 말하자 권 교수가 “해부학적 구조가 있는 건 확실하고 나머지는 추측”이라고 답했다. 아무래도 제3 순환계가 폭넓은 인정을 받으려면 구조뿐 아니라 기능까지 명쾌히 밝혀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2014.11.03
- 것. 연구자들은 세포분화와 성장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량이 늘어났음을 보여 이런 해부학적 변화를 뒷받침했다. 기사와 논문을 보면 비만대사 수술이 체중감량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에는 분명하지만(그럼에도 개인차는 크다고 한다) 상당한 수순의 수술(특히 위우회술의 경우)이라 ... ...
- 뇌의 두 가지 지도, 정원과 도시IBS l2014.08.05
- 평면 이미지(EPI: Echo-Planar Imaging) 사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으로 뇌의 기능적, 해부학적 네트워크를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워싱턴, 미네소타, 옥스포드, 세인트루이스, 인디애나 등 주요 대학교들이 참여하고 있다. - HumanConnectome.org 제공 세밀하게 보기: 시냅스의 골목길 뇌의 ...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