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스페셜
"
해부학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의대교수였던 베살리우스가 《인체해부에 대하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최초의 인체
해부학
서적으로 평가받을 만큼 중요한 서적이다. 봄이 오면 어느 순간 곳곳에서 온갖 꽃들이 피기 시작한다는 말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모양이다. 《천구회전에 관하여》의 ‘회전’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종양은 뇌 속에 뿌리 내려 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프랭크 윙클러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신경종양학부 교수와 토마스 쿠너 기능신경
해부학
부 교수 연구팀은 신경교종 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웠을 때와 쥐에게 이식했을 때, 성인 인간에게서 직접 채취했을 때 모두에서 시냅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미셸 몬제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학부 교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통과한다고 했으나 이븐 알 나피스는 격벽에 구멍이 없고 단단하다고 기술했다. 이는
해부학
적으로 정확한 내용이다. 폐순환을 다시 언급한 사람은 250여 년 뒤인 16세기 유럽의 세르베투스였다. 온전한 혈액순환론이 나오려면 17세기 영국의 하비까지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억할만한 이슬람의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발생하는 질환이다. 조씨 외에도 단국대 의대 연구소 박사후연구원과 단국대 의대
해부학
과 교수, 병리학과 교수 등이 연구에 참여한 것으로 돼 있다. 연구팀은 이 논문을 통해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 신생아의 허혈성 뇌산소뇌병증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혈관 내벽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시대의 헤로필로스와 그의 제자 에라시스트라토스가 신경계와 순환계, 소화계 등의
해부학
적 지식을 넓혀 놓았다. 갈레노스는 이 모든 것을 모아 하나의 종합적인 체계로 발전시켰다. 갈레노스는 수백 권의 저술을 남기기도 했는데 갈레노스의 의학체계는 거의 1500년 동안 정통의학으로서의 권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동정할 처지가 아니다. 맨발로 다니는 사람들은 신을 신는 사람들에 비해 평발 등
해부학
적 문제도 훨씬 적고 나이 들어 관절염 등 퇴행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도 낮다고 한다. 대부분 도시에서 사는 현대인들이 맨발로 다니기는 어렵겠지만 맨발에 최대한 가까운 두꺼워진 굳은살을 대신해 ... ...
발기부전 치료제 '타다라필' 심장 잘 뛰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용량인 타다라필 20㎎을 49일간 투여했다. 양의 심장은 인간 심장의 크기와 비슷하고
해부학
적으로도 유사하다. 타다라필을 복용하지 않은 양 42마리 중 34마리는 49일 내로 심부전 관련 증상을 보이며 죽었다. 반면 타다라필을 복용한 27마리는 모두 49일까지 살아남았다. 연구팀은 PDE5 효소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은 뇌세포를 되살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있다. 실험 결과 약 6시간 동안 일부 신경세포(뉴런)가 괴사를 멈추고 다시 작동했다.
해부학
적인 형태를 살아 있을 때처럼 유지하고 일부 혈관세포가 살아났으며, 신경세포 간 시냅스에서 신호를 주고 받기도 했다. 하지만 '당연히' 살아 있는 돼지처럼 인지, 지각 등은 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교수는 대사질환과 퇴행성질환을 노화의 불가피한 측면이라고 치부해서는 안 된다며,
해부학
과 생리학의 관점에서 인류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를 실생활에 반영한다면 불일치 질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불일치 질환이 만연하면서 건강수명이 정체되거나 줄고 있는 반면 의학의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재구성할 수 있는 인지유연성 등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오기하라 교수는 “소뇌의
해부학
적인 차이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사회적 능력에 중요한 차이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뇌 구조의 차이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닌 호모 사피엔스가 지금까지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라고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