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5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후 레이저사이트 테크날러지 회사(Lasersight Technologies Inc.)가
최초
로 FDA 승인을 받은 제조업체가 되었다. 라식 관련된 연구에서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페이먼이 주도적 역할을 했다. 1990년에는 각막에 얇은 판을 만드는 데 미세각막절개술이 사용되었다. 라식 수술을 하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1980년부터 시작된 일이다. 1948년에 창립되어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대한화학회가 국내
최초
의 영문 학술지 ‘Bulletin of Korean Chemical Society’를 창간했다. 무늬만의 어설픈 영문 학술지가 아니었다. 이듬해에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SCI에도 등재한 본격적인 국제 학술지였다. 우리 과학기술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인체에 해가 없는 조영제인 요드나트륨을 동맥 내에 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이듬해에는
최초
로 뇌혈관 조영 X선 사진을 촬영하면서 뇌에 생긴 혈관질환 진단법을 개발했고, 뇌의 특정 부위의 이상과 증상의 관계를 연구하는 등 이미 훌륭한 업적을 쌓아가고 있었다. 모니즈는 환자들이 병적인 사고를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3개 분과가 모두 참여하는 전체 회의는 분과 수립 후 10년 만에
최초
개최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과학기술컨벤션(ST)센터에서 7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ETRI 컨퍼런스 2023'를 통해 채용설명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ETRI는 현재 역대 최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한편 미국의 메타워(John Peter Mettauer)는 1827년에 자신이 개발한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최초
로 선천성 구개열을 수술하는데 성공했다. 1845년에 디펜바흐(Dieffenbach)는 코재건술에 대한 새로운 책을 쓰면서 재건수술을 한 코를 한 번 더 수술하여 미용상 좋게 만드는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미용을 위해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반응을 보이는 특징들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식물이 외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최초
발견은 1966년 예일대 마크 제피(Mark J Jaffe)와 아서 갤스톤(Arthur Galston)의 연구로 보인다. 이들은 알래스카 콩 식물의 줄기가 자라나는 모습을 관찰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doi.org/10.1104/pp.41.6.1014). 이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인의 날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날 기념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기술개발인의 날은 국내 기업부설연구소가
최초
로 인정된 날인 10월 24일을 기념한 날이다. 올해 행사는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과 산기협이 공동 개최했다. '기술개발인도 자랑스러운 국가대표!'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구자균 산기협 회장과 기술개발인 등 30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987년에 사용을 승인했다. 그리하여 실패한 항암제 지도부딘이
최초
의 HIV 치료제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후로 지금까지 HIV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약이 개발되어 현재는 HIV 감염환자가 발견되면 작용기전이 서로 다른 약을 동시에 투여하는 칵테일요법을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이보다 훨씬 짧아 10세기 이란고원(현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뿌리채소로 먹었다는
최초
의 기록이 있다. 당시 당근은 주황색이 아니라 노란색이나 자주색이었다고 하고 그림에도 그렇게 묘사돼 있다.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니콜라스 마스의 유화 작품 ‘채소 가게’(1655-65). 당근이 옅은 노란색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재향군인병이라 한 이 감염병은 1977년 1월 18일에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감염병임이
최초
로 알려졌다. 더위를 식히는 에어컨(냉방기)의 발견이 레지오넬라 감염증을 유발한 것이다. 에어컨은 냉각수를 이용하므로 냉각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여 비말 형태로 사람으로 전파되어 감염증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