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
2015.11.30
2007년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를 자체기술로 완공하였으며, 2008년 5월
최초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시운전에서 영하 268℃의 극저온 냉각운전에 성공했다. 1억℃ 이상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야만 활발한 핵융합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만, 극한의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
2015.11.24
KSTAR는 실험을 통해 고성능 플라즈마를 500kA전류 상태에서 20초간 유지하는데 성공하였다.
최초
플라즈마 실험에 성공한지 5년 만에 첫 해 실험보다 100배 가까이 플라즈마 유지시간을 늘리는데 성공한 것이다. 금년도 실험에서는 30초간 고성능 플라즈마 상태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 ...
신규원전으로 알고 싶어진 에너지 시설에 대한 오해 BEST 5!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I-16 항공기는 아직도 벨기에에서 운행되고 있다. 철도는 기관차·객차·화물차 모두
최초
운영허가기간이 25년이지만 특별점검 후 5년씩 3회에 걸쳐 총 40년의 계속운전을 허용하고 있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
IBS
l
2015.11.18
iPS세포)를 얻은 뒤 망막세포로 만들어 환자에게 다시 이식하는 시험에 세계
최초
로 성공했다. 이러한 사례처럼 줄기세포를 이용해 유사장기(organoid)가 만들어질 수 있다면 영화와 같은 비극적인 일들은 일어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김 연구위원은 줄기세포 연구의 장점으로 다재다능함을 꼽았다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
IBS
l
2015.11.17
있으면서 플로어 상동성을 아놀드 추측 이외에 사교위상수학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초
로 성공했다. 또한 추상적으로 정의된 플로어 상동성을 통해 '플로어 스펙트럼 불변량(Floer spectral invariant)'이란 구체적인 불변량을 유추해내는 일을 했다. 오 단장은 2006년 스페인 마드리드 ... ...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
IBS
l
2015.11.16
고시바 교수는 카메오칸데 검출기로 1987년 초신성이 폭발했을 때 나온 중성미자를
최초
로 검출했고, 1988년 태양 중성미자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사라지지 않고 단지 변신할 뿐?! 그런데 태양 중성미자는 과학자들을 괴롭혔다. 태양에서 오는 중성미자의 양은 태양 질량을 토대로 수학적으로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KISTI
l
2015.11.14
등록문화재 제557호로 등록됐다. ■ 전기제어공학을 원자력 발전에 응용 우리나라
최초
의 원자력 관련 국비 유학생인 한만춘 박사는 원자력 발전의 국내 활성화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1961년 영국 노팅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전기제어공학이론을 원자력발전 안정성에 응용한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수소를 생성함는 동시에 생체에너지를 만들어 증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세계
최초
로 밝혀낸 연구성과다. 수소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며 자체 에너지가 높다. 따라서 수소를 생성하면서 생활하는 미생물은 석유를 만들어내면서 생활하는 생물만큼이나 놀라운 발견인 셈이다. 이는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Algal Blooms ann Climate Change Symposium’ 발표에서 관련 분야 과학자 중 누구도 이 기술이 세계
최초
라는 염 박사의 의견에 반론을 제기하지 않았다. 그림 6. 이번 연구에서 와편모조류 검출에 성공한 모습. 붉은 색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이 와편모조류에 반응하여 색상을 나타낸 곳이다. 염 박사는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해색위성이라 해외에서의 협력연구 요청도 많을 것 같습니다 . 천리안위성이 세계
최초
의 정지궤도 해색위성이다 보니 여러 국가에서 협력을 요청해온다. 영국의 플리머스 해양연구소(PML)가 대표적인 사례로, PML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여러 해 동안 공동워크숍을 개최하며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