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들림
격동
동요
떨림
바이브레이션
비브라토
전율
스페셜
"
진동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또 멈춘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수소계통 압력을 미세 제어하는 밸브의 비정상적인 개폐에 따라 수소계통 압력과
진동
이 발생해서였다. 이후 특별점검을 거쳐 1년만에 종합성능시험 허가가 내려졌다. 그러나 2019년 12월에도 시험가동 3일 만에 냉중성자원 설비 문제로 멈췄다. 당시 문제는 제어컴퓨터 소프트웨어 오류로 ... ...
“살려주세요!” 산속 조난 신고, AI로 더 빨리 더 정확하게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조난자의 위치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장지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음향
진동
초음파표준그룹 책임연구원과 포스텍 기계공학과 이승철 교수, 이수영 박사과정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기존 기술보다 10배 이상 정확한 ‘딥러닝 기반 음원 위치 추적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홍석원 GIST 교수팀, 의료물질 '감마아미노산' 전환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17일 차세대 메모리에 적용되는 반강자성체에 기계적
진동
을 가해 자기정렬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강자성체는 물질 중의 자기 배열이 2조로 갈라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해, 전체로서 자력이 나타나지 않는 물질이다. 이 기술은 컴퓨터 기반 차세대 ... ...
[랩큐멘터리]암도 진단하고 유해가스도 탐지하는 새로운 코를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2
로켓이 지구의 중력을 이기고 우주로 올라가려면 엄청난 추력이 필요하고, 비행 시
진동
이 생긴다. 빠른 속도에 큰 압력을 받으면 구조물이 찌그러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로켓과 탐사선을 쏘아 올린 지난 60여 년간 구조역학 실험을 무수히 진행해왔다. 직접 모형을 만들고 ... ...
[프리미엄리포트]모바일 세상에서 장애인이 차별을 겪는 순간들
과학동아
l
2021.04.17
‘톡백’이라는 이름으로 들어있다. 하드웨어 디자인에도 접근성이 고려된다.
진동
모드로 바꾸는 똑딱이 버튼이나 홈버튼은 스마트폰을 직접 보지 않고도 위아래를 구분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미세한 손가락 움직임이 힘든 지체장애인을 돕기 위해 스마트폰에 별도의 장치를 연결하는 ‘스위치 ... ...
화성서 규모 3 이상 '화진' 두 차례 더 측정…"살아있네"
연합뉴스
l
2021.04.02
추위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돔형 덮개로 덮여있지만, 겨울철에는 화진에 의한
진동
과 구분되지 않을 만큼 강한 바람이 불어 지진 측정이 방해를 받았다. 지진계 주변 온도도 밤에 영하 100도 가까이 떨어졌다 낮에는 0도를 유지하는 등 일교차가 커 인사이트호와 지진계를 연결하는 ... ...
달 착륙 후보지 탐색하고 우주인터넷 검증…한국형 달궤도선 임무 첫 공개
2021.04.01
'폴캠'이 실린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폴캠은 특정 방향으로
진동
하는 빛인 편광을 활용해 달 표면의 입자 크기나 티타늄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르게 산란하는 편광의 특성을 활용한다. 달 표면 입자 크기를 알면 달에서의 '우주 풍화'를 연구할 수 있다. 지구에서 보이지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양쪽 방향으로 강력하게 뿜어내는 ‘제트’를 생성한다. 편광은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
하며 진행하는 빛을 뜻하는데 이번에 블랙홀의 가장자리에서 발견된 편광은 블랙홀에 강력한 자기장이 존재한다는 근거로 쓰인다. 강력한 자기장의 영향으로 M87 은하 중심부의 블랙홀에 고에너지 물질의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고유
진동
수와 같은 초음파를 쏘았을 때 떨리다가 깨지는 현상도 같은 원리다. ‘풍
진동
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거론되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1940년 11월7일 미국 서부 워싱턴주 타코마 해협에서 벌어진 ‘타코마 다리 붕괴사건’이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이용해 코로나19를 직접 파괴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PER
진동
자 외에도 초기에 진화한 산화환원 경로(ROS pathways)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진동
자가 있을지도 모른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