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스페셜
"
대칭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기영 장관 취임후 첫 기자간담회 일문일답(전문)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노력하겠다.” Q. AI 인재양성 추진하겠다고 했는데 당장 AI 신사업 해야는데 인재 비
대칭
문제 해결할 방안이나 대책있는가. 소부장 관련해서 8월에 얘기했고 기술특위 신설한다. 아직 준비단계인건가. 아직 협력 잘 안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느 정도 진행됐나. “AI관련해서 가장 오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충실히 따르고 있다. 다만 20세기의 과학자들은 플라톤 입체라는 구조물 대신 주로
대칭
성이라는 보다 추상적인 수학 구조물을 더 좋아한다. 어쨌든 20대의 젊은 나이에 이런 책까지 썼으니 유럽 동네에서 수학 좀 한다는 소문이 났을 법도 하다. 브라헤가 갑자기 죽기는 했지만 브라헤의 모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벗어난 동시심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운행한다. 이 결과를 이심에 대해 동시심과
대칭
적인 위치에 있는 지구에서 바라보면 실제 관측한 행성의 운동을 잘 설명할 수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천체관에서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고정돼 있다. 자전도 하지 않는다. 다만 지구 또한 둥근 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선정될 때까지 평생 외국을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고 한다. 관련 분야(물질·반물질 비
대칭
성)의 대가임에도 영어를 못해 국제학회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심지어 노벨상 수상식에도 안 가겠다고 해 주변 사람들이 애를 먹었다는 후문이다. 대학원 때나 기자를 할 때 외국 명문대에서 유학하고 외국 ... ...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
2017.07.22
아는 만큼 타인의 나락을 깊게 알 수 없어서 생기는 비
대칭
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비
대칭
의 존재를 알아야 한다. 우리의 판단은 상당히 자기중심적일 수 밖에 없음을 말이다. 쉬워 ‘보이는’ 삶은 있을지라도 정말 쉬운 삶은 없다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나름의 부족함과 불운으로 인한 괴로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반물질 소멸의 비
대칭
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오늘날 우주의 비
대칭
성을 제대로 설명하지는 못한다. 아무튼 필자에게 반물질은 허구나 과거의 존재로 여겨졌다. 제1형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생긴 니켈56은 불안정해 코발트56과 철56으로 두 단계에 걸쳐 재빨리 붕괴하며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그것이 만족되고난 후에는 그저 입 안에 음식이 잔뜩 들어있다는 느낌일 뿐 그 고통과
대칭
되는 크기의 기쁨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에어컨이 틀어져 있다고 해서 룰루랄라 행복한 건 아니지만 꺼지면 큰 짜증이 몰려온다. 숨을 잘 쉬고 있을 때에도 숨이 막히는 고통과 정반대 크기의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공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윌첵 교수가 시간 결정을 제안하기 전까지 ‘
대칭
깨짐’이라 함은 당연히 공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어였습니다. 그리고 윌첵 교수는 이 반복성이 시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아마도 수학적으로는 더 완벽하게 설명할 수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결국 영장류나 원숭이보다 더 오래된 인류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사코르히투스의
대칭
인 몸 구조는 인간을 비롯한 많은 후손들이 물려받았다. 하지만 사코르히투스가 물에서 살다가 밖으로 나와 어떻게 인류까지 이어졌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 교수는 “사코르히투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프린스턴대에 자리를 잡은 크로닌은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를 연구하다 1964년 CP
대칭
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7년 그곳에 있는 페르미연구소의 충돌빔 책임자가 됐지만 바로 사임했다. 과학행정이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1985년에는 고에너지 우주선 ... ...
이전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