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스페셜
"
대칭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프리바이오틱도 챙겨 먹는 게 좋을 것이다.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패턴의 동서양 비
대칭
성은 사회심리학과 유전학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가 아닐까. 인간의 유전형과 미생물총에 따라 같은 음식을 먹어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서구인들처럼 아밀라아제(AMY1)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지역 SW산업 활성화 워크숍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특수서비스 개념이 도입을 도입하는 한편 제공조건도 구체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보비
대칭
성을 완화하기 위해 통신사의 정보공개대상을 확대해 관련 자료제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오전 11시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NRI)을 개통한다고 27일 밝혔다. ... ...
[과학자의 언어,대중의 언어]④더 나은 과학용어를 만들어야
2020.12.20
설명해야 하는 물리학자들의 입장은 몹시 난처했다. 표준모형, 스칼라 보손, 자발적
대칭
성 깨짐, 힉스 메커니즘과 같은 과학용어 중 어느 것도 빼놓을 수가 없었고, 그 중 어느 것도 쉽게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일반인을 위한 은유적 설명도 불가능했다. 표준모형의 세계는 일반인의 ... ...
한국과학상에 기하학 이론가 김범식·메타물질 연구자 박규환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대수 기하학 이론인 ‘콰시맵’을 창안해 수학과 물리학을 아우르는 관점에서 거울
대칭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박규환 교수는 모든 빛을 반사 없이 매질 내로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이론적으로 규명했다. 이를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갖도록 설계된 물질을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때 이런 모습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통나무가 매우 가늘고 길다면, 이 회전
대칭
성을 가진 해는 매우 불안정할 것이고, 실제로 통나무를 던졌을 때 이렇게 서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슈바르츠실트 시공간의 블랙홀과 특이점에 대한 당대 물리학자들의 비판은 마치 가늘고 긴 통나무 ...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만든 ‘동시 다중 경매’ 주파수 경매 기틀 세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적은 금액으로 입찰받을 수 있는 전략을 찾는다. 공정한 경매 방법은? 정보의 비
대칭
에 주목하다 경매는 이베이 같은 온라인 거래부터 국가 간 협상까지 활용돼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이유로 1996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 윌리엄 비크리가 1960년대 초 ‘경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존재하는 물질은 이상한 물질이 아닌 한 모두 위의 에너지 조건을 만족한다. 이 증명은 구
대칭
을 전혀 가정하지 않고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일일이 풀 필요가 없는 매우 일반적인 접근법이어서 휠러의 추측이 틀렸음을 말해준다. 특이점, 즉 블랙홀은 자연에서 중력 수축의 과정을 통해 충분히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이러한 해답들은 그저 순수하게 이론적인 결과라고 여겨졌다. 블랙홀이 완벽하게 둥글고
대칭
일 거라는 결과도 나왔다. 그러나 실질적인 해답을 찾은 사람은 로저 펜로즈 교수였다. 퀘이사의 미스터리 블랙홀의 존재에 관한 질문은 1963년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인 퀘이사가 발견되면서 다시 수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이런 결정에 반발했을 수도 있지만 오히려 환영했다. 다윈과 월리스의 학계에서의 비
대칭
적인 지위도 아마 작용을 했을 것이다. 다윈은 이미 학계에서 이름이 높은 학자였다. 사실 그랬기 때문에 월리스는 58년 자신의 논문을 다윈에게 보냈다. 생각하기에 따라서 다를 수는 있으나 이름이 잘 ... ...
식품첨가제로 만드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이유로 실험실 수준의 연구는 가능하지만 상용화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비
대칭
구조를 갖는 고분자 물질을 합성하고 용해도를 높여 식품첨가제로도 사용되는 친환경 용매에도 녹을 수 있도록 했다. 합성된 고분자 물질은 태양전지에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적합한 ‘배향’을 가진다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