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스페셜
"
구분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친절한 클리닉] ② 비만 치료의 최선은 '예방'..."다이어트, 금연보다 어려워"
2022.10.29
막는다. 크게 3개월 이내로 사용이 제한되는 단기 약물과 장기간 복용 가능한 약물로
구분
된다. 펜터민 등은 단기간 써야 하고, 삭센다·큐시미아·콘트라브·제니칼 등은 장기간 가능하다. 그러나 약물 선택은 워낙 전문적인 분야고, 환자별로 다 다르다. 빨리 빼야 하는지 천천히 빼야 할 지, 유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과학자의 연구태도에 변화가 생겼음을 인정하여 1543년을 과학사에서 중세와 근대를
구분
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다. 삼위일체를 중심으로 한 중세의 신학적 사고가 프톨레마이오스와 갈레노스의 책 내용을 진리로 받아들였지만 중세가 끝날 무렵에는 이들의 주장도 허위일 수 있으니 확인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날개 패턴 만든 고대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검정색과 노랑, 주황색 계열의 조각들이 다소 불규칙적으로 배열돼 있는가 하면 영역을
구분
하는 직선 패턴도 보인다. 정답은 작은멋쟁이나비(Vanessa Cardui)로 불리는 나비의 날개에 있는 무늬를 고배율로 확대한 이미지다. 미국 조지워싱턴대와 코넬대 공동연구진은 나비 날개의 화려한 패턴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2022.10.12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교육부가 밀어붙이고 있는 ‘문‧이과 통합’은 사실 ‘문‧이과
구분
폐지’에 해당하는 것이다. 아무리 어렵고 재미가 없는 것이라고 학생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반드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 학생의 미래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가려주는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이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이다. 무지개는 왜 서로
구분
되지 않는 색이 연속적으로 붙어서 보이는지, 원의 넓이를 구할 때 연속적인 선의 합으로 구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가져야 한다. 뉴턴과 같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되기 위한 첫 단계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딥러닝으로 사계절 북극 해빙을 관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7
레이더 신호가 바다에서 반사된 것인지 얼음 표면에 녹아있는 물에서 반사된 것인지
구분
하기 어려웠다. 잭 랜디 노르웨이 북극대 박사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일년 내내 북극 해빙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이번주 네이처 논문에서 제시했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이번엔 첫 외계행성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태양의 거리보다 항성과 약 100배 더 멀리 떨어져 있어 연구팀이 수월하게 항성과 행성을
구분
할 수 있었다. 힝클리 교수는 "JWST는 항성의 빛을 억제하는 능력이 뛰어나 행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항성은 행성보다 훨씬 밝아 항성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외계행성을 관측하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신노동만 해도 피로한 이유
2022.08.23
않는 정신노동은 진화의 관점에서 생소한 인지 활동이다. 측면 전전두피질이 정신노동을
구분
하게 진화할 시간이 없었고 따라서 우리는 정신노동만 해도 지나치면 극심한 피로를 느낀다. ‘결국 뇌의 착각이네...’라고 넘어갈 수는 없는 게 과도한 정신노동이 반복되면 번아웃이나 면역계 이상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발암성은 즉각적으로 독성이 발현되는 뱀독·복어독·버섯독과는 분명하게
구분
된다. 화장품의 피부 감작성(알러지)도 즉각적으로 독성이 발현되는 급성 독성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암은 세포의 유전물질인 DNA의 손상에 의해서 발생한다. 그런 손상이 반드시 암으로 진행되는 것은 ... ...
반도체 인재 10년간 15만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9
했다. ○ 학과 신증설 요건 완화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 학과의 경우 수도권과 지방
구분
없이 학과 신·증설 4대 요건 중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정원을 늘릴 수 있게 하기로 했다. 국립대는 정부와 협의를 거쳐 학과 증설 관련 전임교원 확보 기준을 80%에서 70%로 하향 조정하기로 했다. 별도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