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거짓말"(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2016.12.06
- 할까 싶을 것이다. 타인을 대하는 것뿐 아니라 자기 자신을 대할 때도 저런 악의적인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힘들어하는 자신을 비교적 잘 돌볼 줄 아는 사람이 있다. 자기 자신을 누구보다 과하게 비난하며 삶의 의욕을 꺾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괜찮다며 스스로를 보듬고 용기를 ... ...
- 내 감정 재평가하기 vs 억누르기, 무엇이 효과적?2016.10.18
- 스트레스가 커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감정을 속여야 한다는 점에서 자신이 스스로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모종의 죄책감을 느끼고 자율성을 낮게 지각하는 현상들이 나타났다. 또한 이런 류의 감정 조절을 써야만 하는 환경은 아마도 개인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할 환경일 ...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2016.09.07
- “내가 아이 아버지인가?” “모르겠어요.” 예전이라면 “그걸 말이라고 해요?” 같은 거짓말로 넘기겠지만 수녀들과 지내며 ‘정화된’ 키티는 솔직해지고 싶었다. 그리고 며칠 뒤 남편이 귀가하지 않아 먼저 자던 키티는 새벽에 찾아온 사람들로부터 월터가 콜레라로 생명이 위독하다는 말을 ...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2016.07.04
- 만족한다. 틀림없이 전세계가 곧 그 가치를 알게 될 것이다. - 멘델의 유언 그(멘델)는 거짓말쟁이이거나 억수로 운이 좋은 사람이다. - W. F. R. 웰던, 영국 생물학자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 세대 전 필자가 고등학생 때만해도 찰스 다윈보다 그레고르 멘델의 업적에 대해 더 많이 배웠다. 멘델의 ...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2016.04.04
- 부정직성(justified dishonesty)’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정당화된 부정직성이란 거짓말이지만 아주 근거가 없는 건 아니라서 스스로 위안을 줄 수 있는 수준이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주사위를 두 번 던지게 한 게 바로 정당화된 부정직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다. 즉 처음에 1, 두 번째 3이 나온 사람의 ... ...
- 거짓말을 잘하고, 지저분한 사람은 ○○○이 높다?2015.12.08
- 거야’라며 합리화 하지는 말도록 하자. 자신이 가진 창의성이 100이라면 경우에 따라 거짓말과 지저분함이 아주 조금 보탬이 된다는 이야기 정도이니까. ▶ 필자소개 : 지뇽뇽 ◀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 ...
- 계절이 바뀌면 사람도 변한다KISTI l2015.11.10
- 찌고 사람은 빠진다는 얘길 하시는 건 아니겠죠?” “어허, 아빠가 명색이 과학잔데 거짓말을 하겠냐? 날씨가 추워지면 인체는 심장박동이나 소화 같은 기본적인 생명유지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쓰게 돼 있어. 다시 말해 기초대사량이 높아진다는 거지. 가만히 있어도 더 많은 에너지를 쓰니까 ... ...
- [만화] 체했을 때 바늘로 손가락 따면 낫는다?!KISTI l2015.09.24
- 낫는다는 건, 말짱 다 거짓말이라고요. 그치 아빠?” “뭐, 현대의학 입장에서 보면 거짓말이라고 할 수도 있지. 현대의학에서는 정식 질환명도 없는 병이니까 말이야. 하지만 한국사람 치고 체했다는 말이나 증상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걸?” “암만! 내 아들 똑 소리 나게 말 한번 잘 ... ...
- [만화] 오~ 진실이시여! 리플리증후군KISTI l2015.08.25
- ” “글쎄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치료가 아주 어렵단다. 일단 현실을 인지하고 자신이 거짓말로 만들어 낸 허구의 존재처럼 대단하지도 멋있지도 않다는 걸 인정해야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데, 그게 정말 쉽지 않다는 구나. 현실을 깨닫는 순간 엄청난 두려움과 괴로움을 느끼기 때문에 대부분 다시 ...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KISTI l2015.03.31
- 때문이다. 전전두피질의 회색질 부피가 감소했는데, 이는 공격적인 사람이나 병적인 거짓말쟁이들의 뇌에서 나타나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능적 뇌 영상 연구에서도 이곳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전두피질의 억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 하면서 이들이 충동적으로 ...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