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사이버불링' 겪는 뇌, 전쟁터에 있는 것처럼 반응과학동아 l2025.04.12
- 익명성을 이용한 사이버불링의 가장 심각한 사례를 단적으로 보여줬다, 영화 '우아한 거짓말'은 온라인까지 확장된 학교의 왕따 문제부터 학교와 스마트폰을 오가는 집단 괴롭힘 속에서 더 큰 고통을 겪는 피해자의 고립감, 이를 알아채지 못한 피해자 주변의 심리까지 세밀하게 묘사했다. 넷플릭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로 이득 보는 사람 있다2025.03.08
- 보이기도 했다. ③ 라이벌 제거 물론 싫은 사람이나 집단을 해하기 위해 악의적인 거짓말을 퍼트리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과거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화를 정당화 하기 위해 원주민들은 식인을 일삼는 야만인들이라는 루머를 공공연히 퍼트렸다고 한다. 지금은 특히 어린 여성 연예인들을 ... ...
- 반사회성 인격장애 범죄자 재범률 낮추는 치료 전략동아사이언스 l2025.02.19
- 정신화를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ASPD 환자의 주요 증상인 충동성, 공격성, 무모함, 사기성, 거짓말, 연민 부족 등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영국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남성 범죄자 157명을 대상으로 12개월간 MBT-ASPD 치료를 시행했다. 대조군인 156명의 남성 범죄자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감과 책임감이 '도덕적 용기'를 높인다2024.12.14
-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해리란 흔히 도덕적 정당화(예를 들어 "이 정도의 거짓말은 되려 유익할 수 있어"), 완곡어법 사용(예를 들어 훔치는 게 아니라 빌리는 거다), 피해 축소(예를 들어 별로 해롭지 않은 일), 책임 전가(예를 들어 착하게 살기에 각박한 세상), 책임 회피(예를 들어 "나만 ... ...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