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이혼
절단
불화
별거
이별
절교
뉴스
"
절연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빛 흡수해 안경 김 서림 방지하는 코팅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극히 일부만 흡수해 투명하다”고 설명했다. 코팅제는 3개 층으로 구성된다. 전기
절연
물질인 ‘산화티타늄’ 초박막 사이에 금 나노층이 위치하는 구조다. 연구팀은 “금이 비쌀 순 있지만 매우 극소량이 사용된다”며 “재료 비용이 낮게 유지된다”고 말했다. 전체 두께는 10nm(나노미터·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차이를 보이는 걸 발견했다.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뉴런의 축삭을 지지하고 이를 감싸는
절연
체인 미엘린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축삭이 미엘린으로 잘 싸여있어야 전기 신호가 새지 않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희소돌기아교세포의 APOE 단백질은 미엘린의 구성성분인 콜레스테롤을 축삭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과학자 개발 '고무처럼 휘는 다재다능 회로기판'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대한 저항력도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의 핵심 기술로 고체
절연
성 액체 금속 입자 복합체에 음향장을 적용해 조립된 액체 금속 입자 네트워크(LMPNet)를 제시했다. 이는 일종의 '탄성 전도체'다. 이 전도체는 산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머 하이드로겔을 통해 생산될 수 ... ...
사람 시냅스 모사한 반도체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연구팀이 2차원(2D) 신소재 기반의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소자는 2D
절연
체 신물질과 2D 반도체의 이중접합 구조가 기반이다. 연구팀은 “2D 소재는 원자수준으로 두께가 매우 얇아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강점이 있다”며 “고유 특성으로 빠른 전기신호 온오프 전환, 전하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눈에 보이지 않는 과학' 나노·양자 연구 곧 실험실 밖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박 교수는 아주 얇은 한
절연
체를 예시로 들었다. 고체임에도 공기처럼 가벼운 이
절연
체는 고출력 전선 위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열을 식힐 수 있다. 소형 전자 기기가 발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앞서 현 교수가 언급한 전자 피부와 같은 사람의 몸과 붙여서 사용하는 기기에도 활용할 수 ... ...
삼성전자, 세계 첫 3나노 파운드리 양산…핀펫 넘은 GAA 기술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30
사장(파운드리사업부장)은 “파운드리 업계 최초로 하이케이 메탈(누설전류를 줄이는
절연
효과가 높은 물질) 게이트와 핀펫, 극자외선(EUV) 등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한데 이어 이번에 MBCFET(다중가교채널펫) GAA기술을 적용한 3나노 공정의 파운드리 서비스를 처음으로 제공하게 됐다”며 ... ...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기반 시설의 설치 방식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전기 회사들이 전선의
절연
에 더욱 신경을 쓰고 전선에 철망이나 가시 같은 구조물을 만들어 새들이 앉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스 연구원은 “비용이 많이 들지만 대형 조류가 변압기에 더 안전하게 앉을 수 있는 ... ...
6월 엔지니어상에 전성철·최수영 씨…상반기 여성 엔지니어상에 이형의·조영은·김경희 씨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조영은 LS전선 수석연구원은 전력케이블 핵심 소재인
절연
재료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기술을 개발했다.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조 수석연구원은 “친환경 소재 개발을 통해 2050 탄소중립과 재생 에너지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반도체 한계 넘는 고집적 2차원 반도체 소재 기술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점이다. 기판과 2차원 소재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육방정계 질화붕소와 같은 2차원
절연
체가 필요한데 분리에 필요한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여러 층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아직 확보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육방정계 질화붕소의 다층 합성에 필요한 재료의 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합성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발광다이오드 올인원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픽셀 패터닝 공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주변
절연
성 유기 리간드(결합 분자)를 전하 수송이 유리한 유기 리간드로 교환해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발광 색상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이나 전자빔 처리 없이 고효율 RGB 색상이 나오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