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이혼
절단
불화
별거
이별
절교
뉴스
"
절연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반구 눈 밑서 겨울 난 뒤 재발화하는 '좀비' 숲 화재
연합뉴스
l
2021.05.20
토탄 토양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토양을 덮고 있는 눈이
절연
체 역할을 해 토양 속 불씨를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위성 이미지에서 좀비 숲 화재는 화재로 소실된 지역에서 수백 미터 내에서 다시 발화하며, 땅이 녹으면서 번개에 의한 화재보다 시기적으로 ... ...
자기장, 컴퓨터 메모리 전력으로 바꿔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뜻한다. 전기가 흐르는 주변에는 반드시 자기장이 생긴다. 전도율이 매우 높은 전깃줄과
절연
성이 좋은 피복을 사용해도 전기의 일부분이 자기장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전기 에너지로 만들어진 자기장은 지속적으로 사라지기 때문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전기 에너지의 효율은 떨어진다. 과학자들은 ... ...
실리콘 기판 위에 빠르게 그래핀 합성할 실마리 찾았다
연합뉴스
l
2021.04.21
느려지게 된다. 펑딩 그룹리더는 "에너지 소모가 가장 많은 단계를 활성화한다면
절연
체 기판 위에 바로 그래핀을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그래핀을 활용한 반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데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 나노'(ACS Nano)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래 반도체 물질 ‘강유전체’ 구조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7
지금까지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강유전체는 전기적으로는
절연
체이지만 자연상태에서 외부 전기장이 없어도 전기 편극을 지닐 수 있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외부에서 전압을 걸지 않아도 스스로 양과 음의 전기분극 현상이 일어나 차세대 메모리 연구가 ... ...
무
절연
고온초전도 자석 만든 한승용 서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승용 교수가 처음으로 무
절연
초전도 자석의 개념을 제안한 2011년 논문이다. 과학동아DB ... ...
공학한림원 대상에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 ‘젊은공학인상’ 정대열·한승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구현하려면 고온초전도체 개발이 필요하다. 한 교수는 전기
절연
을 의도적으로 제거한 무
절연
고온초전도 자석 기술을 통해 지구 자기장의 91만배에 이르는 직류 자기장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대상 수상자 1인에게는 공학한림원 회장 명의 상패와 상금 1억원이 수여되며 젊은공학인상 수상자 ... ...
전국 유해인자 9만 5514종 분석해 안전정보 제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4
설치했으나 안전조치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실험자가 전원차단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절연
장갑도 착용하지 않으면서 일어난 사고였다. 실험 중 피해를 줄 수 있는 유해인자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일어난 사고였다. 유해인자는 연구 대상과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 ...
[과학게시판] 중앙과학관, 2021년 과학공방 가족공방교실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친환경 가스 및 72.5kV 31.5kA급 개폐장치 설계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절연
성능이 뛰어나 50년 넘게 사용된 SF6 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다. 연구진은 SF6를 대체할 수 있는 ‘저탄소 가스’와 이를 적용한 개폐장치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 ...
딱딱한 집게형 대체할 손가락장갑형 심박수 측정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4
섬유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며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전자소자다. 반도체와 전극,
절연
막 등의 층으로 구성된 광전자소자는 전극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소자의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 섬유형 전자소자는 전극의 크기와 구조를 크고 다양하게 만들 수 없었다. 마이크로미터 단위인 실의 두께에 맞춰 ... ...
[랩큐멘터리] 금속과 산소의 결합 단단한 스마트 세상 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보이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개발에 필요한 강유전성을 가진다. 바나듐 산화물은
절연
체와 도체를 오가는 특성을 보여 고성능 스위치 소자나 민감한 센서에 활용된다. 연구실은 아주 얇은 산화물층을 원자 단위로 쌓아올리고, 이를 엑스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진공장비를 구축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