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39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오염 측정장치, 생물종 다양성 확인 도구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6.09
“생물종 다양성 감소와 일부 생물종의 멸종위기는 과학자들의 오랜 관심사”라며 “
육지
에 사는 생물종 다양성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에 판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eDNA 관련 데이터 수집이 대기질 측정소 본연의 임무인 대기질 모니터링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 기존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존에 기여한 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3.05.28
물속에서는 입을 벌리는 것만으로도 수중을 부유하는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지만
육지
에서는 음식물을 가공 및 섭취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주로 음식물을 섭취하는 수단으로 혀의 역할에 주목했었다. 최근의 연구는 혀의 또 다른 역할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수가 말라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1
애리조나주 경계에 있는 콜로라도강의 인공 저수지인 ‘파월 호수’다. 사진에서
육지
퇴적물 중 흰 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한때 물에 잠겨 있었지만 이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인간의 물 소비, 지구 온난화, 퇴적물의 변화 등이 이같은 호수가 저장하고 있는 물의 양을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 ...
[오늘과학] 바다에 사는 곤충이 드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다르기 때문이다. 갑각류의 경우 MCO2가 아닌 바닷물의 칼슘을 사용해 껍질을 경화한다.
육지
보다 해양 환경에서 적응하기 적합한 진화적 특성인 것이다. 연구팀은 "곤충 껍질에서 큐티클층이 경화하는 방식은 곤충이 지상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라며 "곤충의 진화는 ... ...
바다·호수·강에서 그린수소 생산…IBS, 물에 뜨는 광촉매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현택환 단장은 “활용이 한정적인
육지
가 아닌 바다에서의 그린수소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성능을 확보했다”며 “수소뿐 아니라 다양한 유기화합물과 과산화수소(H2O2) 생성에도 적용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23.04.22
보낸다. 이때 산소와 만난 철이 산화돼 붉은빛을 띠게 된다. 따라서 초록 식물이 가득한
육지
에서는 몸을 투명하게 만들어도 적혈구의 빨간색이 도드라져 곧장 포식자의 눈에 띄고 만다. 유리개구리가 혈액마저 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은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비밀을 밝혀내는 과정은 쉽지 ... ...
영구동토층에 묻혔던 '좀비 바이러스' 깨어났다..."전염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인류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영구동토층 전체 면적은 북반구
육지
의 5분의 1을 덮고 있다. 영구동토층은 그간 유용한 과학 시료 역할을 해왔다. 빛이 침투하지 않는 무산소 환경을 조성해 동물 사체 등의 시료를 얻을 수 있는 일종의 '타임캡슐' 역할이다. 그러나 지구 ... ...
세계 인구 99.999%가 기준치 초과 초미세먼지 마시며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연구팀은 “2019년 기준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WHO 기준을 충족한 지역은 세계
육지
면적 0.18%에 불과하다”며 “여기에 거주하는 세계 인구는 0.001% 뿐”이라고 말했다. ● 아시아와 아프리카, 초미세먼지 농도 더 높아 2000~2019년 사이 지역별 초미세먼지 농도 차이도 나타났다. 초미세먼지가 ... ...
잔인한 포식자 스피노사우루스는 물고기 사냥꾼으로 진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데 적합했을 거라는 증거를 골밀도에서 찾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육지
생활을 하는 공룡들은 뼈 가운데가 비어있는데 스피노사우루스는 골밀도가 높아 물속에서 부력을 통제하며 사냥했을 거라는 분석이다. 앞서 아마추어 영국인 화석 수집가인 윌리엄 워커는 스피노사우루스류인 ... ...
"탄소감축 못하면 빙상 녹으며 2150년 해수면 1.4m 상승"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떠 있는 빙붕이나 빙산이 녹더라도 해수면 높이가 크게 변하지 않은 반면 빙상은 전부
육지
위에 펼쳐져 있어 바다로 흘러가면 해수면을 크게 높인다. 빙상의 변화는 예측이 힘들다. 물리학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특히 남극 빙상은 많은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