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393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베리아 툰드라 아예 사라질 위기…'최선' 다해도 30%만 남아
연합뉴스
l
2022.05.30
헤르츠슈 교수는 "현재와 미래의 온난화로 북극해와 바다얼음이 심각한 영향을 받지만
육지
환경도 극적으로 바뀔 것"이라면서 "이미 시작된 수목한계선의 북상이 급속히 빨라지며 시베리아와 북미의 방대한 툰드라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에바 클레벨스베르크는 "결국 ... ...
한국 쇄빙선 아라온호가 포착한 통가 화산 폭발 후 3D 지형도…화산 형태 그대로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5.25
연구결과를 23일 발표하기도 했다. 훙가 통가-훙가 하파이 화산이 폭발한 이후
육지
였던 홍가 통가 섬이 바다가 됐다. 이 지역에서는 갯지렁이류 등 생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은 남극 항해를 마치고 국내로 귀환 중이던 아라온호를 통가 화산폭발 현장에 투입했다. ... ...
귀여운 반려 동물, 초대형 달팽이
팝뉴스
l
2022.05.16
아마 눈이 휘둥그레졌을 것이다. 자신 속 반려 동물은 달팽이다. 종은 ‘아프리카
육지
달팽이’라고 하는데 크고 징그럽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반면 사랑스럽고 개성 넘치는 반려 동물이라는 평가도 없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소형발사체 회사 로켓랩, 헬기서 로켓 낚아채기 성공…새로운 재사용 방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미국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이 헬리콥터(왼쪽 상단)에서 연결된 갈고리로 낙하산을 펼친 채 지구로 낙하하는 1단 추진체(오른쪽 막대모양)를 낚아채는 데 성공했다. 이후 추진체의 무게가 예상보다 커 지상으로 옮기지 못하고 바다에 떨어뜨렸다. 로켓랩 제공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이 로켓을 ... ...
빅뱅 3억년 뒤 135억 광년 밖서 가장 먼 은하 후보 관측
연합뉴스
l
2022.04.08
파악하는 것은 "바다 한가운데 돌풍과 짙은 안개 속에서 나부끼는 선박의 깃발을 멀리
육지
서 바라보고 국적을 추측하는 것과 같다"면서 "타당하지 않은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배제하는 긴 게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우주를 가장 멀리, 가장 깊이 들여볼 목적으로 배치된 웹 망원경이나 202 ... ...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 기술 전문가 이창수 원자력연 선임연구원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묻는 방법, 빙하에 묻는 방법 등이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법은
육지
처분이다.
육지
처분도 깊이에 따라 천층처분과 심층처분으로 나뉜다. 심층처분은 사용후핵연료 등 고준위폐기물을 지하 300~1000m 깊이의 암반에 처분시설을 만들어 격리하는 영구처분 방식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 ...
지난 겨울 북극바다 얼음 우리나라 면적 8배 가까이 줄어
연합뉴스
l
2022.03.23
기록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약간 더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는 북극 해빙처럼
육지
에 둘러싸이지 않고 남빙양의 해류와 바람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며 얼음 면적을 확산할 수 있는 지리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남극 해빙의 증가는 북극 바다에서 잃는 얼음을 상쇄할 만큼 ... ...
미군이 발굴한 로켓스타트업 아스트라, 실패 아픔 딛고 첫 상업 우주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3.16
로켓이 마지막이다. 남과 북 양극을 통과하는 극궤도로 발사할 때 낙하 궤도상에 섬이나
육지
가 없어 위성을 올리기 가장 적합한 곳으로 꼽힌다. 극궤도는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지구 전 지역을 볼 수 있어 관측위성에 유리하다. 아스트라는 극궤도에 위성을 올리기 유리한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4500만 년 전) 후기는 역사상 최악의 멸종이 이뤄진 때다. 멸종 직전까지는 온난한 기후로
육지
에 생명들이 유례없이 번성했던 때였다. 양치식물이 숲을 이뤘고, 곤충이 번성해 2m가 넘는 거대한 잠자리 ‘메가네우라’도 이때 살았다. 2억 5190만년 전 시베리아 지역에서 화산이 폭발했다. 이 폭발은 1 ... ...
[영상+]태양탐사선 파커, 금성 지표면 가시광선으로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장비 등을 이용해 금성 지표면을 관측한 적은 있으나, 두꺼운 대기로 뒤덮인 금성의
육지
를 가시광선용 관측장비로 촬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9일(현지시간) 파커호에 탑재된 광시야카메라(WISPR)로 촬영한 금성 지표면을 공개했다. 광시야카메라(WISPR)는 470~800나노미터(nm)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